print

생산자물가 3개월 만에 하락 전환…지난해보다 상승세 둔화

공급자물가지수·총산출물가지수 모두 하락
“12월 전망은 상·하방 요인 모두 존재”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최근 농산물 가격과 유가가 하락하면서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10월보다 0.2% 낮은 120.42를 기록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8월 전월보다 0.4% 하락했다가 이후 9월 0.1%, 10월 0.5% 등 2개월 연속 올랐다. 그러나 11월에는 전월보다 0.2% 내리면서 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하면 6.3% 올라 24개월째 상승세다. 다만 상승률은 6월 10.0%, 7월 9.2%, 8월 8.2%, 9월 7.9%, 10월 7.3%, 11월 6.3%를 기록해 5개월 연속 둔화했다.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3.2% 내렸다. 수산물이 4.1% 상승했으나, 농산물이 7.8%, 축산물이 0.6% 하락했다.
 
공산품은 0.2% 내렸다. 국제 유가가 하락하고 경기 둔화 우려에 수요 부진까지 겹치면서 화학제품(-0.9%)과 석탄·석유제품(-1.0%) 등이 내렸다.
 
전력·가스·수도·폐기물은 전월보다 0.1% 하락했다. 원료비 연동제로 11월 산업용 도시가스 요금이 인하된 영향이나, 12월에는 인상될 예정이다.
 
서비스는 금융·보험서비스 등이 1.3% 올랐으나, 운송 서비스 등이 0.3% 내려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자료: 한국은행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한 달 새 1.5% 하락했다. 원재료(-4.7%), 중간재(-1.1%), 최종재(-1.2%)가 모두 하락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1월 총산출물가지수는 10월보다 1.7% 하락했다. 농림수산품(-3.2%), 공산품(-2.5%) 등이 하락했다.
 
서정석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팀장은 12월 생산자물가 전망에 대해 “공공요금이나 가공식품 가격 인상 등이 예정돼 있으나, 원/달러 환율이나 유가는 하락세”라면서 “상·하방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6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7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8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9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실시간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