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MZ세대 연봉, 부모 소득으로 결정…‘금수저 대물림’ 심각
- 대기업 취업하려면 해외연수·공모전·자격증 준비 필요해

[이코노미스트 민보름 기자] 일명 ‘MZ세대’에 속하는 1980년~1990년대 출생자들의 임금이 청소년기 부모 소득에 따라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거와 달리 국내에서 소득이 대물림되는 사회 양극화가 본격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2일 열린 ‘경제학술대회’에 발표된 ‘부모의 소득·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1980년~1990년대 출생자들에게서 부모의 소득과 본인 임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이지은 노동연구원 전문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교수가 한국노동패널자료에서 “만 14세 당시 경제적 형편이 어땠냐”는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 나온 것이다.
해당 질문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응답을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평균보다 약간 낮았다”, “평균”,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평균보다 훨씬 높았다”등 5자리로 분류하고 본인 임금은 아르바이트, 인턴 등이 아닌 ‘첫 일자리’의 3년간 임금 평균값을 바탕으로 정했다.
그 결과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이 한 단계 높아질 때마다 1980년대생과 1990년대생 임금이 각각 9.8%, 9.1% 증가했다.
그러나 1960년~1970년대 출생자들에겐 이 같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이 위원과 정 교수는 논문을 통해 “2000년대 들어 발생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대기업 정규직 일자리 등 1차 노동시장과 나머지 일자리 간 임금 차이가 심화한 데다 1차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졸 학력에 해외연수, 공모전 출품, 자격증, 인턴십 등 추가적인 경력, 일명 ‘스펙’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취업 준비생들의 추가 경력은 상당부분 부모 재력이 뒷받침 돼야 한다.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 외에 객관적 부친 가구소득과 임금을 분석했을 때에도 비슷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객관적 부친 가구소득은 만 14세 당시 실제 데이터 상 가구소득을 뜻한다. 이 가구소득을 5개 분위(하위 20%~상위 20%)와 10개 분위(하위 10%~상위 10%)로 구분해 분석했다.
5개 분위 분석에선 하위 20%인 1분위보다 4분위와 5분위 자녀의 임금이 각각 14%, 18% 높았다. 10개 분위 분석에선 10분위 자녀 임금이 1분위 자녀 임금보다 33% 높았다.
이 위원과 정 교수는 이 결과에 대해 “부모 가구소득의 양극단에서 자녀 임금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빈부의 대물림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AI 잘 모르시죠?" 김문수 저격한 안철수…계엄 두고서도 충돌(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