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OECD 국가 중 행복 점수 몇 위?...1위는 핀란드
행복 점수 6.11점...日보다 높아
한국 '고립도'는 OECD 중 4위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한국 국민들의 행복도 점수가 경제협력개발(OECD) 국가 중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에 따르면 갤럽월드폴(Gallup World Poll)이 조사한 한국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 중 6.11점이었다. 이번 조사 시점은 2021년이다. 한국의 행복 점수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5.90점), 2020년(5.79점) 대비해서는 소폭 상승했다.
한국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한 OECD 국가는 그리스(6.10점), 일본(6.09점), 멕시코(5.99점), 폴란드(5.98점), 콜롬비아(5.29점), 튀르키예(4.37점) 등 6개 국가였다.
행복 점수 책정 방식은 응답자 스스로 질문에 답을 하는 식이다. 질문은 '바닥이 0점이고 꼭대기가 10점인 사다리를 상상하세요. 사다리 꼭대기는 최상의 상태를 의미하고, 바닥은 최악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다리의 어느 단계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가 스스로 주는 방식이다.
행복도 점수는 북유럽 국가들이 비교적 높았다.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나라는 핀란드(7.79점)였고, 이어 덴마크(7.70점), 이스라엘(7.58점), 아이슬란드(7.56점), 스웨덴(7.44점)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과 영국은 각각 6.96점, 6.87점이었고 독일과 프랑스는 6.75점과 6.66점이었다. 이밖에 한국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국가는 코스타리카(6.41점), 라트비아(6.35점), 헝가리(6.23점), 포르투갈(6.18점) 등이다.
갤럽월드폴은 '곤란한 상황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친구나 친지가 있는지'도 물었다. 이 질문에 대해 '없다'고 답변을 한 비율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큰데, 한국은 이런 응답한 비율이 18.9%로 OECD 회원국 중 4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고립도가 심한 나라는 콜롬비아(20.7%), 멕시코(22.1%), 튀르키예(26.4%) 3곳이었다. 그리스와 아일랜드는 각각 15.0%로 한국보다 상황이 조금 나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에 따르면 갤럽월드폴(Gallup World Poll)이 조사한 한국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 중 6.11점이었다. 이번 조사 시점은 2021년이다. 한국의 행복 점수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5.90점), 2020년(5.79점) 대비해서는 소폭 상승했다.
한국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한 OECD 국가는 그리스(6.10점), 일본(6.09점), 멕시코(5.99점), 폴란드(5.98점), 콜롬비아(5.29점), 튀르키예(4.37점) 등 6개 국가였다.
행복 점수 책정 방식은 응답자 스스로 질문에 답을 하는 식이다. 질문은 '바닥이 0점이고 꼭대기가 10점인 사다리를 상상하세요. 사다리 꼭대기는 최상의 상태를 의미하고, 바닥은 최악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다리의 어느 단계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가 스스로 주는 방식이다.
행복도 점수는 북유럽 국가들이 비교적 높았다.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나라는 핀란드(7.79점)였고, 이어 덴마크(7.70점), 이스라엘(7.58점), 아이슬란드(7.56점), 스웨덴(7.44점)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과 영국은 각각 6.96점, 6.87점이었고 독일과 프랑스는 6.75점과 6.66점이었다. 이밖에 한국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국가는 코스타리카(6.41점), 라트비아(6.35점), 헝가리(6.23점), 포르투갈(6.18점) 등이다.
갤럽월드폴은 '곤란한 상황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친구나 친지가 있는지'도 물었다. 이 질문에 대해 '없다'고 답변을 한 비율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큰데, 한국은 이런 응답한 비율이 18.9%로 OECD 회원국 중 4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고립도가 심한 나라는 콜롬비아(20.7%), 멕시코(22.1%), 튀르키예(26.4%) 3곳이었다. 그리스와 아일랜드는 각각 15.0%로 한국보다 상황이 조금 나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한항공, 日 구마모토 노선 재운항...1997년 이후 27년만
2베트남 新 통관법 시행 논의…하노이서 이커머스 포럼
3야구 이어 축구도 점령...골든블랑, 'K리그 우승 축하주' 됐다
4숨은 AI 고수 찾아라…패스트캠퍼스 AI 공모전 ‘GALA’ 연다
5제주항공, ‘한~일 노선’ 시잠 점유율 1위 달성
6㈜보가, 차세대 통합 멀티미디어 시스템 장착한 '보가9 더 뉴 카니발 하이리무진' 공개
7신희은 밀레니얼 머니스쿨 대표가 강의를 선택하는 기준
8'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직장인에게 길을 안내합니다
9"개인적 욕구 커"…로제, 괴롭힘 언급에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