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韓, OECD 국가 중 행복 점수 몇 위?...1위는 핀란드
- 행복 점수 6.11점...日보다 높아
한국 '고립도'는 OECD 중 4위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에 따르면 갤럽월드폴(Gallup World Poll)이 조사한 한국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 중 6.11점이었다. 이번 조사 시점은 2021년이다. 한국의 행복 점수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5.90점), 2020년(5.79점) 대비해서는 소폭 상승했다.
한국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한 OECD 국가는 그리스(6.10점), 일본(6.09점), 멕시코(5.99점), 폴란드(5.98점), 콜롬비아(5.29점), 튀르키예(4.37점) 등 6개 국가였다.
행복 점수 책정 방식은 응답자 스스로 질문에 답을 하는 식이다. 질문은 '바닥이 0점이고 꼭대기가 10점인 사다리를 상상하세요. 사다리 꼭대기는 최상의 상태를 의미하고, 바닥은 최악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다리의 어느 단계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가 스스로 주는 방식이다.
행복도 점수는 북유럽 국가들이 비교적 높았다.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나라는 핀란드(7.79점)였고, 이어 덴마크(7.70점), 이스라엘(7.58점), 아이슬란드(7.56점), 스웨덴(7.44점)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과 영국은 각각 6.96점, 6.87점이었고 독일과 프랑스는 6.75점과 6.66점이었다. 이밖에 한국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국가는 코스타리카(6.41점), 라트비아(6.35점), 헝가리(6.23점), 포르투갈(6.18점) 등이다.
갤럽월드폴은 '곤란한 상황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친구나 친지가 있는지'도 물었다. 이 질문에 대해 '없다'고 답변을 한 비율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큰데, 한국은 이런 응답한 비율이 18.9%로 OECD 회원국 중 4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고립도가 심한 나라는 콜롬비아(20.7%), 멕시코(22.1%), 튀르키예(26.4%) 3곳이었다. 그리스와 아일랜드는 각각 15.0%로 한국보다 상황이 조금 나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문희준 딸 잼잼이, 폭풍성장…母소율 닮은 걸그룹 미모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농구계 퇴출’ 허재 “은퇴 후 20년, 망가진 몸…인생 반환점 되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덕수 만난 김문수 "사부로 모시겠다"…선대위원장 제안(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가해진 회사채 발행 시장…자금 조달 나서는 리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개미 지옥'되는 바이오벤처의 초기 신호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