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기지’ 완공 앞둔 셀트리온…“송도 연구센터 밸리데이션 돌입”
ADC·mRNA 등 차세대 신약 플랫폼 개발
제3공장 완공되면 생산능력 25만L로 확대

셀트리온은 2020년 연구개발(R&D)과 공정개발, 임상시험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는 대규모 복합연구센터를 신축하기로 했다. 착공 후 26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올해 1월 건축물 사용 승인을 획득했다. 2월 말까지 시운전을 완료했고, 이달부터는 연구센터의 주요 기능을 확인하는 검증에 돌입한다. 입주는 4월부터 진행할 계획이다.
신설된 연구센터는 부지 대지면적 1만33㎡(약 3000평)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다. 300명 이상의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 R&D 인력이 여기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연구센터에는 비임상 원료의약품(DS·Drug Substance)을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랩(pilot lab)이 있다. 비임상 완제의약품(DP·Drug Product) 생산을 위한 충전 설비도 있어 연구센터에서 임상 진입을 위한 모든 연구 활동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상반기까지 연구원들이 연구센터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인력을 집중해 새로운 치료제 모달리티(modality)와 약물 전달 기술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구센터를 설계할 때부터 항체-약물 중합체(ADC) 접합공정 실험실과 메신저 리보핵산(mRNA) 플랫폼 실험실 등 신약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R&D 공간을 마련했다. 이중항체와 항체신약, 마이크로바이옴, 합성신약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데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다.
회사는 연구센터 옆에 지어지고 있는 제3공장도 순조롭게 건설되고 있다고 했다. 제3공장은 6만L 규모의 의약품 생산 설비다. 올해 11월 건축물 사용 승인을 받는다는 목표다. 밸리데이션을 마친 후 내년 12월부터 상업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다.
제3공장을 완공하면 셀트리온의 연간 의약품 생산 능력은 25만L로 확대된다. 셀트리온은 3공장에 8개의 7500L 규모의 배양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데 속력을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