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역대 두 번째 큰 은행 파산...금융시장 패닉

미국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은 10일(현지시간) 불충분한 유동성, 지급불능 등의 사유로 SBV를 폐쇄했으며,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 관재인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 본사를 둔 SVB는 지난 1983년 설립됐다. 스타트업 전문 은행으로 캘리포니아주, 매사추세츠주 등에 총 17개 지점을 운영해왔다.
FDIC는 샌타클래라 예금보험국립은행(DINB)라는 법인을 신설한 뒤 SVB의 예금을 이전받을 계획이다. 이와 함께 SVB 보유 자산의 매각도 추진할 예정이다. FDIC에 따르면 SVB의 총 예금과 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각각 1754억달러(약 233조원), 2090억달러(약 277조원) 수준이다.
FDIC의 이번 조치로 예금보험 한도 25만달러 내의 기존 SVB 예금주들은 오는 13일 이후부터 예금 인출이 가능해진다. 비보험 예금주들은 보험 한도를 초과하는 예금액에 대해 FDIC가 지급하는 공채증서를 받을 수 있다.
SVB의 파산 소식에 월가도 충격에 빠졌다. SVB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파산한 저축은행 워싱턴뮤추얼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이기 때문이다. 이 여파로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시그니처 은행 등의 주가는 장중 20% 이상 폭락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SVB 파산 사태가 금융권 전반으로 퍼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SVB의 위기가 수면 위로 떠오른지 이틀도 되지 않아 이번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앞서 SVB는 주요 고객인 스타트업들의 예금이 감소함에 따라 대부분 미 국채로 구성된 매도가능증권(AFS)을 어쩔 수 없이 매각하면서 18억달러(약 2조4000억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발표 직후 주가는 60% 이상 폭락했다. 위기를 직감한 벤처캐피탈 회사들의 경고가 이어지면서 고객 예금 인출이 가속화됐고, 결국 이번 사태가 벌어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8살 유괴 살해한 여고생, 공범은 검찰에 '쌍욕'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