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가 기술이전한 독감백신, 대만서 품목허가 획득
백신 생산 현지화 전략 가속화

이번에 허가를 받은 품목은 GC녹십자가 MVC에 제조 기술을 이전한 독감백신이다. GC녹십자는 2018년 MVC와 기술이전 협력을 맺고 현지 임상을 통해 글로벌 제조사와의 대조약과 동등한 수준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입증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대만은 의약품 품목허가 절차가 매우 까다로운 국가”라며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산업을 혁신산업분야로 육성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대만에는 대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진출해 있기도 하다”며 “이번 허가는 GC녹십자의 독감백신 기술력이 글로벌 제조사와 대등한 수준임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했다.
GC녹십자는 MVC에 독감백신 원액을 공급할 예정이다. MVC는 GC녹십자로부터 백신 완제품 제조 기술을 이전받아 현지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대만의 독감백신 시장은 5000만 달러 규모로 알려져 있다.
회사는 대만 시장 진출을 발판 삼아 백신 생산의 현지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세계 독감백신 시장의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반세기 동안 축적한 백신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백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GC녹십자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범미보건기구(PAHO)와 유니세프(UNICEF)의 최대 계절독감백신 공급 제조사다. 세계 63개 국가에 독감백신을 공급해왔다. 국제기구뿐 아니라 23개 국가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고, 최근 누적 독감백신 생산량은 3억 도즈를 넘겼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