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인 ‘연봉 1위’는 카카오 전 대표이사…재계 총수 ‘연봉킹’은 CJ 이재현
조수용·여민수 카카오 전 공동 대표이사 300억원 보수
이재현 CJ 회장 221억원, 2위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106억원
신동빈 롯데 회장은 92억원,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36억원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채영 기자] 지난해 기업인 중 ‘연봉킹’은 카카오 전 대표이사로 나타났다. 조수용·여민수 카카오 전 공동 대표이사는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실행해 300억원 넘은 보수를 받았다. 재계 총수 중에선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지주사와 계열사로부터 총 221억원을 받아 가장 많은 급여를 받았다. 재계 1위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6년째 무보수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21일 각 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조수용 전 공동대표는 지난해 급여 6억8500만원을 포함해 총 364억4700만원을 급여로 받았다. 여민수 전 대표의 경우 급여 4억5600만원을 포함해 총 334억1700만원을 수령했다.
두 전임 대표는 스톡옵션 행사로 막대한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대표는 총 45만주를 행사해 337억5000만원의 이익을 거뒀고, 여민수 전 대표 역시 42만5000주로 318억2400만원의 이익을 얻었다.
재계 총수 중에선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이 회장은 CJ에서 106억44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72억9400만원, CJ ENM에서 41억9800만원을 받아 총 221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지난해(218억6100만원)와 비교해 1.3% 증가한 금액이다.
재계 연봉 2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으로, 정 회장의 보수는 106억원이다.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 각각 70억원, 36억원을 받았다. 2021년 보수 총액 87억7600만원과 비교해 18억5000만원 늘어난 액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보수는 95억7800만원이다. 구 회장은 지난해 LG로부터 급여 46억2700만원과 상여 48억5100만원을 받았다. 2021년 88억2600만원보다 약 7억원 늘었다.
한화그룹의 김승연 회장은 한화와 한화솔루션에서 각각 급여 36억100만원과 36억원을 받았다. 지난해 합병 전 한화건설에서 받은 18억원을 포함하면 총 90억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지난해 67억원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 회장은 급여 26억4300만원과 상여금 40억7300만원을 수령했다.
재계 2위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지난해 보수는 35억원이다. 상여금 없이 급여로만 받았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에서 보수를 받지만 상위 5명 안에 들지 않아 정확한 금액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7년부터 보수를 받지 않고 있다. 이 회장을 제외하면 삼성전자 내에선 정은승 고문이 가장 많은 보수를 수령했다. 그는 급여 9억4200만원, 상여금 19억5400만원, 퇴직금 49억8500만원을 포함해 총 80억7300만원을 받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총 92억원 보수를 받았다. 계열사별로 보면 롯데케미칼 38억3000만원, 롯데제과 24억1600만원, 롯데쇼핑 17억4000만원, 롯데칠성음료 12억5000만원이다.
신세계그룹 총수 일가가 지난해 신세계와 이마트에서 164억91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급여 19억4000만원과 상여 16억7500만원 등 총 36억1500만원을 받았다.
정 부회장의 동생인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은 지난해 신세계에서 총 35억800만원을 받았다. 정 부회장과 정 총괄사장의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지난해 신세계에서 14억9900만원, 이마트에서 31억8500만원 등 총 46억8400만원을 받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1일 각 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조수용 전 공동대표는 지난해 급여 6억8500만원을 포함해 총 364억4700만원을 급여로 받았다. 여민수 전 대표의 경우 급여 4억5600만원을 포함해 총 334억1700만원을 수령했다.
두 전임 대표는 스톡옵션 행사로 막대한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대표는 총 45만주를 행사해 337억5000만원의 이익을 거뒀고, 여민수 전 대표 역시 42만5000주로 318억2400만원의 이익을 얻었다.
재계 총수 중에선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이 회장은 CJ에서 106억44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72억9400만원, CJ ENM에서 41억9800만원을 받아 총 221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지난해(218억6100만원)와 비교해 1.3% 증가한 금액이다.
재계 연봉 2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으로, 정 회장의 보수는 106억원이다.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 각각 70억원, 36억원을 받았다. 2021년 보수 총액 87억7600만원과 비교해 18억5000만원 늘어난 액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보수는 95억7800만원이다. 구 회장은 지난해 LG로부터 급여 46억2700만원과 상여 48억5100만원을 받았다. 2021년 88억2600만원보다 약 7억원 늘었다.
한화그룹의 김승연 회장은 한화와 한화솔루션에서 각각 급여 36억100만원과 36억원을 받았다. 지난해 합병 전 한화건설에서 받은 18억원을 포함하면 총 90억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지난해 67억원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 회장은 급여 26억4300만원과 상여금 40억7300만원을 수령했다.
재계 2위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지난해 보수는 35억원이다. 상여금 없이 급여로만 받았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에서 보수를 받지만 상위 5명 안에 들지 않아 정확한 금액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7년부터 보수를 받지 않고 있다. 이 회장을 제외하면 삼성전자 내에선 정은승 고문이 가장 많은 보수를 수령했다. 그는 급여 9억4200만원, 상여금 19억5400만원, 퇴직금 49억8500만원을 포함해 총 80억7300만원을 받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총 92억원 보수를 받았다. 계열사별로 보면 롯데케미칼 38억3000만원, 롯데제과 24억1600만원, 롯데쇼핑 17억4000만원, 롯데칠성음료 12억5000만원이다.
신세계그룹 총수 일가가 지난해 신세계와 이마트에서 164억91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이마트에서 급여 19억4000만원과 상여 16억7500만원 등 총 36억1500만원을 받았다.
정 부회장의 동생인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은 지난해 신세계에서 총 35억800만원을 받았다. 정 부회장과 정 총괄사장의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지난해 신세계에서 14억9900만원, 이마트에서 31억8500만원 등 총 46억8400만원을 받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두산 사업구조 재편안, 금융당국 승인...주총 표결은 내달 12일
2‘EV9’ 매력 모두 품은 ‘EV9 GT’...기아, 美서 최초 공개
3민희진, 빌리프랩 대표 등 무더기 고소...50억원 손배소도 제기
4中, ‘무비자 입국 기간’ 늘린다...韓 등 15일→30일 확대
5빙그레, 내년 5월 인적분할...지주사 체제 전환
6한화오션, HD현대重 고발 취소...“국익을 위한 일”
7北, '파병 대가'로 러시아서 '석유 100만 배럴' 이상 받았다
8지라시에 총 맞은 알테오젠 '급락'…김범수 처남은 저가 매수 나서
9 대통령실 "추경, 논의도 검토도 결정한 바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