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물가 떨어지려나…기대인플레 3% 후반대로 하락
한은 ‘2023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2개월 만에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전환
금리전망은 여전히 상승 중
![](/data/ecn/image/2023/03/28/ecn20230328000068.600x.0.jpg)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한 3.9%로 집계됐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 및 가계 등의 경제주체들이 현재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하는 향후 1년 후의 물가상승률을 뜻한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공공요금이 81.1%, 농축수산물이 31.5%, 공업제품이 23.6% 순이다.
![](/data/ecn/image/2023/03/28/ecn20230328000069.600x.0.png)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유가가 하락했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내려오면서 하반기 되면 더 내려갈 것이란 소식에 소폭이지만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말하는 물가인식도 0.1%포인트 떨어진 5.1%를 기록했다.
금리수준전망은 전월보다 7포인트 높아진 120으로 나타났다. 시장금리 정점이 여전히 멀었다고 판단하는 경제 주체들이 많다는 의미다.
황 팀장은 “3월부터 미국의 통화정책과 관련해 긴축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소식이 많았다”며 “여전히 고물가가 지속하고 있어 금리가 더 오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92.0을 기록하며 여전히 100을 하회해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다만 전월보다는 1.8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마스크 전면 해제 등에 따른 일상 회복 기대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가격전망은 9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주택시장이 여전히 부진한 편이나 주택가격 하락폭 축소,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등이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퍼지는 K-뱃고동’...韓조선, 경쟁국 中 넘어 선박 수주 1위
2"마누라 보면 분노 폭발"...강추위에도 '백해무익' 담배 사러 줄섰다
3뉴진스→NJZ, 팀명 변경 후 독자 행보…어도어와 법적 공방은 계속된다
4“실물 신분증 없이 환전 가능” 국민은행, 관련 서비스 내놔
5인도 5년만에 첫 금리인하..."성장 둔화 극복"
6‘항공기 지연·결항’ 보상해주는 보험 상품 나왔다
7'제2 테슬라' 주목받던 니콜라, 결국 파산위험 직면
8 검찰, '이재용 1·2심 무죄'에 대법원 상고
9‘리플’말고 ‘XRP’로 불러주세요...거래소 내 명칭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