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중국 진출 본격화…‘창유’·‘텐센트 게임즈’와 맞손
- 창유와 텐센트 게임즈의 합작 퍼블리싱 통해 본격적 중국 대륙 시장 진출 나서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 데브시스터즈가 중국 게임사인 ‘창유’, ‘텐센트 게임즈’와 손잡고 쿠키런: 킹덤의 중국 대륙 진출을 본격화 한다고 31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외자판호를 발급받은 쿠키런: 킹덤이 중국 게임사 창유와 텐센트 게임즈의 합작 퍼블리싱을 통해 본격적인 현지 시장 진출에 나선다. 쿠키런: 킹덤은 글로벌 유저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이 모든 것을 치유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동시에, 현지 유저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개발하며 서비스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데브시스터즈가 2013년 ‘쿠키런: for Kakao’를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와 재미를 갖춘 게임들을 선보인 ‘쿠키런 프랜차이즈’는 지난해 기준 글로벌 누적 이용자 수가 2억 명을 넘어섰다. 특히 쿠키런: 킹덤은 2021년 출시 후 작년 10월, 2년도 채 안되는 기간 동안 누적 이용자 수 5000만 명을 돌파하며 글로벌 IP로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이같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는 구글·애플·원스토어 인기 게임 1위를 달성했고, 글로벌에서는 미국 애플 스토어 인기 게임 2위와 매출 3위, 일본 애플·구글 인기 게임 1위 등 해외 주요 국가 게임 순위를 석권하기도 했다.
아울러 쿠키런: 킹덤은 ‘2021 대한민국 게임 대상’에서 게임성을 인정받아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어 작년 4월에는 전세계 유저들의 지명과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어워즈 ‘포켓게이머 모바일 게임 어워드’에서 ‘피플 초이스’를 수상, 연말 진행된 ‘포켓게이머 어워드 2022’에서는 ‘최고의 업데이트’, ‘최고의 커뮤니티’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쿠키런: 킹덤은 현재 안정적인 출시를 위해 개발과 최적화 작업에 집중하고 있으며, 올해 현지 테스트도 계획하고 있다. 또한 현지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쿠키런 IP 기반의 UGC를 창작하는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현지 유저들과의 소통을 위해 쿠키런: 킹덤은 공식 위챗과 웨이보 채널도 동시 오픈했다. 소셜 채널을 통해 콘텐츠 및 기타 개발 등 게임 관련 소식과 추후 계획을 만나볼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동성제약 전자어음 결제 실패로 1차 부도…"입금 완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단독]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논의…전망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할인도 경품도 '역대급'…여기가 '여행천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한화그룹, 美 워싱턴에 글로벌 방산 '지휘본부' 세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임상 성공에 티움바이오 뛰고 바이오솔루션 날았다[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