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억弗 감소, 세계 10위로 추락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50억 달러 가까이 감소하면서 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4000억 달러 선은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관세전쟁 등으로 환율이 급변동할 가능성이 큰 만큼,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8일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4046억7000만 달러(약 563조9076억 원)로, 3월 말보다 49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감소 폭은 지난해 4월(59억9000만 달러 감소) 이후 1년 만에 최대다. 외환보유액도 2020년 4월(4049억8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에 최저 규모를 기록했다.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감소한 것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와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이 겹쳤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달 9일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원대를 넘어서는 등 급등하자 한은과 외환스와프를 체결한 국민연금의 환헤지용 달러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이 주요인이라는 것이다. 이는 국민연금이 연금 운용을 위해 해외 자산을 매입할 때 필요한 달러를 시장에서 조달하지 않고 한은과 계약을 맺고 달러를 빌려 쓴 뒤 만기에 이를 원화로 되갚는 것으로 시장에서 달러를 조달할 경우 환율이 급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해 외환 시장 안정을 꾀할 수 있다. 국민연금과 한은은 지난해 650억 달러 한도 내에서 언제든지 달러를 빌려 쓸 수 있는 외환스와프를 체결한 바 있다.
황문우 한은 외환회계팀장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가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분기 말 회계 비율 관리를 위해 유입된 외화예수금이 다시 빠져나가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다만,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황 팀장은 “외환스와프 만기가 돌아오면 국민연금으로부터 다시 자금이 돌아오고, 금융기관 예수금도 계절적 특성에 따른 것인 만큼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외환보유액 규모가 줄면서 외환보유액 국가별 순위에서도 밀렸다. 3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순위는 세계 10위로, 전달보다 한 단계 떨어졌다. 중국이 3조2407억 달러로 1위를 유지했고 지난달 10위였던 독일이 8위(4355억 달러)로 올라섰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수현 측, 故 김새론 유족·가세연 추가 고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수현 측, 故 김새론 유족·가세연 추가 고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마카오 보내준다고?”…'경품성지' 입소문에 핫해진 코엑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