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생산자물가 3개월째 고공행진…공산품·서비스 ↑, 소비자 부담 불가피

3월 생산자물가지수 2월보다 0.1% 올라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상승폭은 9개월째 둔화
돼지고기 9%↑·빵 6%↑, 화학제품 0.7% ↑

지난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2월(120.46)보다 0.1% 높은 120.58(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채영 기자] 지난달 화학제품 등 공산품과 음식·숙박 등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자 물가가 세 달 연속 올랐다. 공산품과 음식·숙박 등 서비스 업종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2월(120.46)보다 0.1% 높은 120.58(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지난 1월(0.4%)과 2월(0.2%)에 이어 3개월째 오름세일 뿐 아니라, 1년 전인 2022년 3월보다도 3.3% 높은 수준이다. 다만 전년 같은 달 대비 상승 폭은 지난해 7월(9.2%) 이후 9개월째 줄고 있다.

품목별로 전월 대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은 농산물(-4.6%), 수산물(-0.5%)을 중심으로 0.9%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석유제품(-1.3%) 등이 내렸으나 화학제품(0.7%) 등이 오르며 0.2%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는 산업용도시가스(-3.8%) 등이 내리면서 0.4% 하락했다. 서비스는 운송(-0.3%) 등이 내렸으나, 음식점·숙박(0.7%)을 중심으로 0.1%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돼지고기(8.8%), 닭고기(8.5%), 자일렌(2.8%), 에틸렌(7.3%), 한식(0.6%), 햄버거·피자전문점(3.2%) 등의 가격이 올랐다. 하지만 딸기(-31.4%), 풋고추(-43.2%), 냉동고등어(-5.6%), 경유(-3.6%), 등유(-6.0%) 등은 떨어졌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만큼 통상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4월 생산자물가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산업용 도시가스 인하가 예정돼있고 천연가스 가격도 크게 하락하고 있지만, 국제유가는 반등하는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8% 높아졌다.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 물가가 각 3.3%, 0.7%, 0.4% 상승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증시 짓누르는 좀비기업에 칼 빼든 당국 “구조조정 본격화”

2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3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4‘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5‘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6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7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8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9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실시간 뉴스

1증시 짓누르는 좀비기업에 칼 빼든 당국 “구조조정 본격화”

2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3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4‘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5‘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