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P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둔화·고금리 상황 지속”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1% 전망
“금리 인하 내년 돼야 가능할 것”
이자 부담에 내수 경기 악화 우려

S&P 글로벌 신용평가는 3일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사진 김연서 기자]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연서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지난해 대비 둔화하고 고금리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S&P는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제시했다. S&P는 한국 경제의 부담 요인으로 가계 부채를 지적했다.

S&P 경제 성장률 추정치…“올해 1.1%, 내년 2.4%”

루이 커쉬 S&P 전무는 3일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아태지역 신용평가 시장에 대한 최신 동향 및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한국 경제는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최근 경제 지표들을 보면 이와 일관된 수준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 정도가 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S&P는 한국의 정책금리 인하가 내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고 내년 경제 성장률은 2.4%로 추정했다. 커쉬 전무는 “한국은 수십년간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뤄온 국가지만 앞으로는 상황이 어려워질 여지가 있다”며 “인구변화, 과거보다 약해진 생산성 등이 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국의 인플레이션 상황은 미국이나 유럽만큼의 문제는 아니지만, 근원 인플레이션 기준으로 월별 추이를 환산해보면 5% 수준”이라며 “한국은행 차원에서 근원 인플레이션에 집중해 대응하려는 상황으로 판단돼 단시일 안에 금리를 완화할 여지는 없어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빠르게 둔화시킬 여지는 적다고 보여 올해 금리를 내리기는 어렵고 내년에야 인하로 돌아설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는 올해 작년보다 더 둔화한 성장세와 고금리가 유지되는 경제 환경이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고금리 상황 지속 시 이자 부담 커져 내수 경제 영향 미칠 것”

S&P는 한국의 국가부채는 타국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가계부채 부담은 크다고 진단했다. 이에 금리 인상이 지속되거나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 이자 부담이 커져 내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 상무는 “최근 수년간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각국 정부의 국가 부채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GDP 대비 물가 상승률은 아시아 쪽이 많이 상승했지만 한국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전력(015760), 한국가스공사(036460)등 공공기관의 부채는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해서 국가 부채가 감소한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으로 최근 에너지 관련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요금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공공기관 부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탄 상무는 “이런 기조가 지속되면 언젠가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유로존 위기 등에 대한 대응이 끝난 뒤 정부가 공공기관 부채를 줄어나갔던 것을 고려하면 한국도 경제가 안정화 기로에 들어서면 공공부문 관리 등으로 부채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가계 부채 수준은 한국이 전 세계 3위 정도에 있다”며 “고금리 상황이 지속하거나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 소득 중 더 많은 부분이 이자 지급에 사용돼 내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 상황에서 한국에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 부채 문제와 맞물려 경기가 둔화하거나 악화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의 금리 수준이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타국 대비 낮은 편이기 때문에 가계의 이자 부담은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국가 신용등급 AA)으로 유지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3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4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5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6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7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8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9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실시간 뉴스

1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3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4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5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