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시멘트 값 또 오른다…쌍용C&E 이어 성신양회, 가격 인상 통보

성신양회, 7월부터 14.3% 인상...쌍용C&E도 14.1% ↑
최근 2년간 네번째 가격 인상...“전기료 인상 주요 원인”

서울시내 한 시멘트공장에 시멘트 수송을 위한 화물트럭과 열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시멘트업계가 올해에도 가격 인상을 추진한다. 쌍용C&E에 이어 성신양회가 두 번째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사를 대상으로 발송한 공문에서 7월부터 톤(t)당 10만50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앞서 쌍용C&E도 레미콘사 측에 오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톤당 14.1% 인상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이에 따라 1종 벌크 시멘트는 톤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슬래그시멘트는 톤당 9만5800원에서 10만9300원으로 각각 오른다.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사를 대상으로 발송한 공문에서 7월부터 톤(t)당 10만50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앞서 쌍용C&E도 레미콘사 측에 오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톤당 14.1% 인상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사진은 경기도 고양의 한 시멘트 공장 모습. [사진 연합뉴스]

시멘트 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시작해 최근 2년간 벌써 네 번째다. 2021년에는 5%가량 인상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2월과 9월 두 차례 가격을 올렸다. 인상 폭도 각각 18%, 14%에 달했다. 이에 따라 2021년 6월 톤당 7만5000원이던 시멘트 값은 현재 10만5000원 선으로 약 40% 급등했다. 이번에 다시 가격을 12만원 수준으로 올리면 2년 새 60% 급등하는 셈이다.

시멘트업체 측은 시멘트 생산에 필요한 유연탄 가격은 하락했지만 전기요금 인상에 원화값 하락에 따른 부담이 커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유연탄 가격은 하락했지만 환율이 올라 가격 하락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지만 시멘트 제조원가에서 20%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44%나 올랐다”고 말했다.

한편, 시멘트 업계 1위인 쌍용과 성신양회가 시멘트 가격을 인상하면서 다른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

6스마트 로봇 혁신지구로 거듭나는 '대구 침산공단'... 로봇부품 생산거점으로 속속 전환

7역대급으로 찾아온 대구 치맥 페스티벌, '대구로'와 손잡고 각종 연계서비스 출시

8경북 바이오·백신산업, 국제백신연구소와 손잡고 세계 시장 도약

9대구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의장에 이만규 의원 재선

실시간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