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네이버 이어 다음도 ‘뉴스 댓글’ 전면 개편…달라지는 점은?

네이버, 프로필에 ‘제한 여부’ 표기…퀴즈 풀어야 제한 해지
다음, 24시간만 댓글창 운영…실시간 소통 강화·조작 방지 목적

네이버는 6월 1일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을 변경하고, 이를 서비스에 순차 반영하고 있다. [제공 네이버]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네이버에 이어 카카오도 뉴스 댓글 서비스를 전면 개편했다.

카카오는 최근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한 다음CIC가 포털 다음(Daum) 뉴스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 ‘타임톡’ 베타 버전을 시작했다고 8일 밝혔다. 앞서 네이버도 지난 1일부터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을 변경했다. 이에 따른 서비스 변화는 이날부터 순차 적용된다.

네이버는 운영 규정에 따라 댓글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의 경우, 프로필에 해당 상태가 노출되도록 서비스를 변경했다. 또 댓글 이용 제한 해제를 위해선 사용 규칙에 관한 퀴즈를 풀도록 별도 절차를 마련했다. 이용자가 퀴즈를 풀지 않으면 명시된 기간보다 이용 제한을 연장하도록 정책을 꾸렸다. 댓글 내용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거나 현저한 불쾌감 유발하면 제재 대상이 된다. 욕설·비속어·권리 침해·반복적 작성 등의 댓글도 제한 범위에 포함했다.

네이버는 이번 운영 규정 변화에 앞서 악성 댓글을 삭제하는 ‘클린봇’을 도입하고, 댓글 수를 20개·답글 40개로 제한한 바 있다. 또 공감·비공감을 누를 수 있는 횟수도 하루 50회로 제한했다. 뉴스 댓글을 통해 여론 조작을 시도하는 일이 없도록 정책을 변경해 왔다. 또 그간 작성한 댓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성했다. 여기에 더해 이번에 이용 제한 여부 등을 프로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추가하면서 ‘악성 댓글’ 등의 부작용이 감소할 수 있으리라고 네이버는 기대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은 지난 1일 변경했고, 이에 따른 실제 서비스 변화는 8일 오후부터 순차 적용된다”며 “악성 댓글 등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취지에서 서비스를 변경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댓글에 채팅 기능 접목

다음CIC가 다음 뉴스에 이날 도입한 ‘타임톡’은 이용자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채팅형 댓글 서비스다. 기존 추천순∙찬반순 정렬과 같이 일부 댓글을 상위에 보여주는 형태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이 실시간으로 다양한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기사 발행 시점부터 24시간이 지나면 댓글창은 사라진다.

다음CIC는 기사마다 24시간만 타임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발행 후 이용자들이 기사를 활발히 읽는 시간을 반영해 타임톡 사용 기간을 정했다고 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는 댓글 서비스가 건강한 공론장으로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꾸준히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24시간 댓글창 운영은 일부 의견이 과대 노출되는 점과 악성 내용이 남아있는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라고 했다.
다음CIC는 8일 다음 뉴스 댓글에 ‘타임톡’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공 카카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 기술로 운영정책 위반 댓글을 자동으로 가려주는 ‘세이프봇’의 가시성도 높였다. 타임톡 첫 화면에 세이프봇이 작동 중임을 알려,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건전한 댓글 문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는 그간 다음 뉴스에 ▲본인확인제 상시 적용 ▲댓글 도배 방지 시스템 ▲연예∙스포츠 댓글도 폐지 등을 도입한 바 있다. 2013년에는 유해 댓글을 자동 필터링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2017년에는 업계 최초로 AI로 댓글 내 욕설∙비속어를 음표로 치환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임광욱 다음CIC 미디어사업실장은 “이용자의 실시간 소통과 표현의 자유를 유지하면서도 일부 댓글이 과대 대표되거나 부적절한 댓글이 사라지지 않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채팅형 댓글 서비스 ‘타임톡'을 선보이게 됐다”라며 “‘타임톡'으로 더 많은 이용자가 편하고 부담 없이 댓글에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번 네이버·카카오의 뉴스 댓글 정책 변화가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총선) 약 10개월을 앞두고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여권 중심의 비판을 의식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해석한다. 지난 3월부터 여권을 중심으로 ‘포털 공개 저격 발언’이 이어지고 있고 ‘포털뉴스 서비스’와 관련한 법안들이 지속해 발의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해외서 인기 폭발 'K라면'…수출 '월 1억달러' 첫 돌파

2한국의 ‘파나메라’ 어쩌다...“최대 880만원 깎아드립니다”

3치열한 스타트업 인재 영입 경쟁…한국도 대비해야

4G마켓 쇼핑축제 마감 임박..."로보락·에어팟 할인 구매하세요"

5"비상계단 몰래 깎아"...대구 아파트에서 일어난 일

6"올림픽 휴전? 러시아만 좋은 일"...젤렌스키, 제안 거부

7일론 머스크, 인도네시아서 '스타링크' 서비스 출범

8취업 준비하다 봉변...日 대학생 인턴, 10명 중 3명 성희롱 피해

9주유소 기름값 또 하락...내림세 당분간 이어질 듯

실시간 뉴스

1해외서 인기 폭발 'K라면'…수출 '월 1억달러' 첫 돌파

2한국의 ‘파나메라’ 어쩌다...“최대 880만원 깎아드립니다”

3치열한 스타트업 인재 영입 경쟁…한국도 대비해야

4G마켓 쇼핑축제 마감 임박..."로보락·에어팟 할인 구매하세요"

5"비상계단 몰래 깎아"...대구 아파트에서 일어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