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中 사업 손실 1160억…한·중 관계 악화에 불확실성↑ [이코노 리포트]
판매량 증가에도 적자 지속…단기간 내 반등 어려워
양국 관계 악화일로…사드 보복 악몽 되살아나나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의 중국 사업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이후 막대한 손실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최근 한·중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으면서 사업 환경은 더욱 나빠졌다. 이에 현대차와 기아는 고급화 및 차별화 전략을 바탕으로 반등에 나선다는 계획이지만 단기간 내에 반등은 쉽지 않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법인인 베이징현대모터컴퍼니(BHMC)와 강소열달기아기차유한공사(KCN)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1743억원으로 적자를 이어갔다. 지난해(2867억원) 보다는 손실 규모가 줄었지만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BHMC가 680억원, KCN이 1063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BHMC와 KCN의 적자에 따른 현대차와 기아의 1분기 지분법손실은 총 1160억원이다. 지분법손실은 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의 당기순손실 발생분에 대해 투자회사의 지분율 만큼 손실로 인식하는 금액을 말한다.
투자회사가 직접 또는 지배·종속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피투자회사의 의결권이 있는 주식의 20% 이상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반영된다. 현재 현대차와 기아차는 중국 법인 지분을 현지 업체와 50%씩 나눠서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급속도로 냉각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현대차와 기아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가 나빠진 한국과의 관계를 명목으로 경제적 보복에 나설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최근 판매량과 확대로 실적 반등의 기반을 다지고 있는 현대차와 기아 입장에선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미 중국 정부는 한국의 사드배치를 이유로 지난 2016년 현대차와 기아를 비롯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보복에 나선 바 있다. 이 영향으로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내 판매량은 급격히 줄었고 브랜드 가치가 크게 떨어지면서 매년 손실이 반복되는 악순환에 빠졌다. 실제 지난 2016년 중국 시장에서 100만대 이상을 판매했던 현대차와 기아의 판매 실적은 지난해 27만3000대까지 쪼그라들었다.
시장에서도 올해 현대차와 기아의 점유율 확대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하나증권은 “현대차와 기아가 전년 동기 낮은 기저로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전기차 판매 비중이 낮아 점유율 측면에서는 불리한 구조”라며 “중국에서의 EV 볼륨 모델 출시 전까지는 의미있는 점유율 상승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고급화와 차별화 전략을 통해 중국 사업 반등을 예고한 바 있다. 중국 시장 전용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와 전기차 출시를 통해 판매량을 회복한다는 설명이다. 앞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올해 시무식에서 “올해는 중국 사업을 정상화해야 하는 중요한 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하이트진로 3분기 영업익 702억원…전년대비 61.5% 증가
2동양생명, 3분기 순이익 2657억원 시현…전년比 22.2% ↑
3교보생명, 친환경 실천 캠페인 통해 숲 운동장 조성
4핀트, 연금저축 투자일임 가입금액 로보어드바이저(RA) 전체 1위
5KB국민카드. 국가고객만족도(NCSI) 신용·체크카드 부문 동시 1위
6드레이푸스 칠리즈 CEO, UDC 2024 핵심 연사 참여
7삼성화재, 자동차보험과 장기보험 연계보상·청구대행 서비스 확대
8산업부 "美 통상 환경 변화에도 기회 있다...위기 줄일 것"
9백종원, 연돈볼카츠 점주들과 상생간담회..."최근 매출 124%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