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귀여워” 길고양이 만졌을 뿐인데…제주 5번째 SFTS 환자 발생

감염 시 38도 이상 고열과 구토, 설사 증상
"외출 시 긴옷 착용 및 진드기기피제 활용 당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유발하는 작은소참진드기 흡혈 전후 사진. [사진 제주시]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제주 서귀포시에서 길고양이를 만진 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에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서귀포시는 관내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A씨가 지난 6일 SFTS 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A씨는 SFTS 확진 나흘 전 길고양이와 접촉한 뒤 별다른 외부활동은 없었다고 진술해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A씨는 올 들어 서귀포시에서 발생한 첫 번째(도내 5번째) SFTS 환자다. A씨 외 나머지 4명의 환자는 모두 텃밭이나 오름 등에서 야외활동을 하다가 진드기에 물려 SFTS에 감염됐다.

SFTS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 참진드기가 활동하는 4~11월에 많이 발생한다. 감염되면 38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등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난다. 보건소와 농업기술센터 등 관계 기관들은 진드기 기피제 분사·배부, SFTS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예방활동을 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야외활동 때 긴옷 착용과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진드기기피제 활용하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보건소 관계자는 “SFTS는 동물의 털과 피부에 붙어있는 진드기에 물리는 것 외에도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의 체액, 분비물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소화기증상 등이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600여개 살포”

2반려견 사료 판매량, 아기 분유보다 많이 팔렸다

3젊은 약사들이 동물약국 개국에 몰리는 이유

4볼수록 더 눈에 담고 싶은

5정부, 종부세 ‘다주택 중과세율’ 손질…기본세율 일원화

6“복제약은 한계”…반려동물 시장 넘보는 제약사

7“비싸서 못 갔는데”…고물가 특수 누리는 ‘뷔페’

8미디어 산업 패러다임 전환 톺아보기…디지털 시대, 새 경영은

9 중국 창어 6호, 세계 최초 달 뒷면 착륙

실시간 뉴스

1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600여개 살포”

2반려견 사료 판매량, 아기 분유보다 많이 팔렸다

3젊은 약사들이 동물약국 개국에 몰리는 이유

4볼수록 더 눈에 담고 싶은

5정부, 종부세 ‘다주택 중과세율’ 손질…기본세율 일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