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HMM 매각 절차 돌입…산은, 1조 영구채 주식전환하기로
- 산은·해진공 보유 지분 38.9% 매물로
SM그룹 인수희망…현대차·포스코 등 거론

산은과 해진공은 20일 HMM 경영권 공동 매각을 위한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매각 절차를 개시했다. 예비입찰과 본입찰을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연내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는 게 목표다.
거래 대상은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지분 38.9%(3억9900만주·영구채 포함 희석 기준)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이번 거래 규모를 최대 5조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산은과 해진공은 2억68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영구채 중 1조원 규모를 우선 주식으로 전환해 매각하기로 했다. 전환 시점은 오는 10월이다. 잔여 영구채에 대해선 HMM의 상환권 행사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일각에선 두 기관의 1조원 규모 영구채의 주식 전환이 배임 논란을 의식한 예견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오는 10월로 콜옵션(상환청구권) 행사 시점이 도래하는 1조원 규모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전환 여부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인수자와 협의해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달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HMM 인수를 통해 해운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있고 경영능력도 수반된 주체가 인수하기를 기대한다”며 “현 단계에서 자신있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주식 인수에 관심있는 기업이 있다는 점은 확신한다”고 밝혔다.
HMM 인수 후보군으로는 현대자동차그룹, 포스코그룹, LX그룹, CJ그룹 등이 거론된다. 최근 SM그룹의 우오현 회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HMM 인수 의사를 공식 천명하기도 했다. 다만 우 회장은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한다면 인수를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함께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영남 산불 꺼진지 얼마나 됐다고…대구 산불 강풍 타고 확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혼숙려캠프’ 故강지용 부인 “억측 자제 부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T 사태, 집단소송 움직임…카페 가입자 3만명 육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친환경 드라이브' 한솔제지, 탄자니아 하수처리 사업 뛰어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K바이오 최대규모 6.5조 기술수출 뉴로바이오젠...판매 로열티 등 의문 투성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