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안 해요” 가계 초과저축 100兆…부동산 불안요인 될 수도
한은,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발표
2020~2022년 초과저축액 100조원
“향후 부동산 가격 상승 유발할 가능성도”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코로나 펜데믹이 발생한 이후 우리나라 가계의 초과저축 누증이 계속되고 있다. 금융상황의 불확실성으로 가계가 돈을 쓰고 있지 않다는 분석이다. 초과저축된 자금이 부동산 시장 등에 유입될 경우 주택가격 상승 등을 유발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 부문 초과저축 누증이 지속되고 있다.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초과저축액은 100조원에 달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으로 추산된다.
초과저축이란 2020년 3월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 이전 추세를 상회하는 가계의 저축액을 의미한다.
한은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비가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소득까지 증가하면서 초과저축의 지속적 확대를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정기예금 등 금융권 수신금리가 지난해부터 높아진 영향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 가계는 저축한 돈을 부채 상환, 자산 취득에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호조와 정부지원 등으로 소득여건이 양호해졌기 때문이다.
2020~2022년 중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팬데믹 이전 보다 크게 증가했다. 한은에 따르면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 평균 증가율은 2017~ 2019년에는 3.6%를 기록했고, 2020~2022년은 4.6%로 높아졌다.
가계는 이렇게 쌓아온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2020~2022년까지 현금‧예금, 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늘었다. 2017~2019년 증가 규모인 59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한은은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되면서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비의 완충역할(buffer)을 할 수 있지만, 주택가격 상승 등을 유발해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이 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 부문 초과저축 누증이 지속되고 있다.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초과저축액은 100조원에 달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으로 추산된다.
초과저축이란 2020년 3월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 이전 추세를 상회하는 가계의 저축액을 의미한다.
한은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비가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소득까지 증가하면서 초과저축의 지속적 확대를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정기예금 등 금융권 수신금리가 지난해부터 높아진 영향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 가계는 저축한 돈을 부채 상환, 자산 취득에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호조와 정부지원 등으로 소득여건이 양호해졌기 때문이다.
2020~2022년 중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팬데믹 이전 보다 크게 증가했다. 한은에 따르면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 평균 증가율은 2017~ 2019년에는 3.6%를 기록했고, 2020~2022년은 4.6%로 높아졌다.
가계는 이렇게 쌓아온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2020~2022년까지 현금‧예금, 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늘었다. 2017~2019년 증가 규모인 59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한은은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되면서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비의 완충역할(buffer)을 할 수 있지만, 주택가격 상승 등을 유발해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이 될 가능성도 제기했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은 반도체’ 김 수출 역대 최고기록 달성…10억달러 수출 청신호
2이복현 "상법 개정보다 자본시장법 개정이 합리적"
3롯데, 해외 부실면세점 철수 검토…케미칼, 자산매각 추진
411월 기록적 폭설에 車사고 60% 급증…보험료 인상 조짐
5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4년만에 승인…통합 LCC도 출범
6이재명 “‘국장’ 떠나는 현실...PER 개선하면 ‘코스피 4000’ 무난”
7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 2년 만 수장 교체…신임 대표는 아직
8상법 개정 되지 않는다면 “국장 탈출·내수 침체 악순환 반복될 것”
9열매컴퍼니, 미술품 최초 투자계약증권 합산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