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숙식에 체험 프로까지’…韓 기업 잼버리 지원 ‘총력전’

삼성, 잼버리 참가자에 연수원 3곳 제공 

8일 오전 전북 부안군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야영지에서 각국 스카우트 대원들의 철수를 위해 짐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사실상 준비 부족과 운영 부실로 파행된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잼버리)에 참여한 인원들이 영지인 전북 새만금에서 서울 등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잼버리 파행 등과 관련해 비판의 목소리가 거센 가운데 우리 기업들이 잼버리 참가자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는 등 잼버리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8일 재계 등에 따르면 삼성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회사 연수원을 잼버리 참가자들이 숙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삼성그룹은 잼버리 참가자들에게 연수원 3곳을 제공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 삼성화재 유성연수원에는 브라질 대원 480명이, 경기 고양시 삼성화재 글로벌센터에는 몰디브 대원 등 279명이 묵는다. 삼성생명 용인 휴먼센터에는 모로코, 부탄, 바하마 대원 등 140명이 머문다. 

SK그룹 역시 인천 영종도 SK무의연수원, 경기도 안성 SK브로드밴드 인재개발원 등 연수원 2곳을 잼버리 참가자들에게 숙소로 제공했다. LG그룹은 경기 평택 LG전자 LG디지털파크 내 연수시설인 러닝센터에 잼버리 참가자 숙소를 마련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경우 연수원 4곳을 잼버리 참가자들에게 개방해 약 1000명에 달하는 인원을 수용한다. 현대차 마북캠퍼스(540명), 경기 용인 기아 비즌스퀘어(340명), 기아 오산 교육센터(200명), 현대엔지니어링 블루몬테(100명) 등이다. 

포스코그룹은 송도 포스코 글로벌 R&D센터 레지던스홀을 잼버리 이탈리아 대원 160여명에게 제공하며, 대한항공은 경기 용인에 있는 신갈연수원을 통해 200명의 대원에게 숙소를 제공한다. 

한국 기업들은 단순 숙소 제공을 넘어 한국의 문화와 산업 등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LG전자는 잼버리 기간 동안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과 난타 공연 관람, 국립중앙박물관 견학 등을 진행한다. 평택 LG디지털파크 내 전장 부품 생산 라인 견학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잼버리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항공박물관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팀워크 향상을 위한 실내 체육활동 프로그램도 연다. 

현대차그룹은 네덜란드, 일본, 말레이시아 스카우트 대원을 현대차 전주공장으로 초청, 친환경 상용차 생산 라인을 견학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

실시간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