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핫한 '생성형 AI'..."금융·보험업서 진가 발휘"
대한상의 AI 관련 보고서 발간
가장 많이 활용될 산업으로 '금융' 꼽혀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생성형 AI(인공지능)가 가장 많이 쓰일 산업 분야로 '금융·보험업'이 꼽혔다. 대량의 데이터 및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일수록 생성형 AI가 강점을 발휘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쉽과 함께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여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업무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산업부문으로 '금융·보험업(10.1%)'이 꼽혔다. 이어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보험업은 전체 업무영역의 10.1% 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여겨졌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생성형 AI는 한국에서도 상당수 근로자들의 업무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67%) 가량이 업무 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현 시점의 한국 기업생산현장에 적용될 경우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이 최대 4763억 달러(한화 620조원)만큼 증가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 GDP(2150.6조원) 29%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조건도 제시했다.
우선 기업 측면에서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이에 대한 업스킬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분석적 판단 ▲유연성 ▲감성 지능이 AI 기반의 미래에서 가장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국가적 차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를 막기 위한 가드레인 마련과, 생성형 AI 사용 토대 마련을 위해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생성형 AI의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에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며 "생산성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국부 창출에 기여하게끔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쉽과 함께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여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업무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산업부문으로 '금융·보험업(10.1%)'이 꼽혔다. 이어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보험업은 전체 업무영역의 10.1% 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여겨졌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생성형 AI는 한국에서도 상당수 근로자들의 업무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67%) 가량이 업무 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현 시점의 한국 기업생산현장에 적용될 경우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이 최대 4763억 달러(한화 620조원)만큼 증가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 GDP(2150.6조원) 29%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조건도 제시했다.
우선 기업 측면에서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이에 대한 업스킬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분석적 판단 ▲유연성 ▲감성 지능이 AI 기반의 미래에서 가장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국가적 차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를 막기 위한 가드레인 마련과, 생성형 AI 사용 토대 마련을 위해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생성형 AI의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에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며 "생산성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국부 창출에 기여하게끔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오롱 ‘인보사 사태’ 이웅열 명예회장 1심 무죄
2‘코인 과세유예·상속세 완화’ 물 건너가나…기재위 합의 불발
3최상목 “야당 일방적 감액예산…결국 국민 피해로”
4日유니클로 회장 솔직 발언에…中서 불매운동 조짐
5최태원은 ‘한국의 젠슨 황’…AI 물결 탄 SK하이닉스 “우연 아닌 선택”
6서울지하철 MZ노조도 내달 6일 파업 예고…“임금 인상·신규 채용해 달라”
7인천시 “태어나는 모든 아동에게 1억 준다”…출생아 증가율 1위 등극
8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하’ 효과 ‘반짝’…반도체 제재 우려↑
9얼어붙은 부동산 시장…기준금리 인하에도 한동안 ‘겨울바람’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