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요즘 핫한 '생성형 AI'..."금융·보험업서 진가 발휘"
- 대한상의 AI 관련 보고서 발간
가장 많이 활용될 산업으로 '금융' 꼽혀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쉽과 함께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여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업무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산업부문으로 '금융·보험업(10.1%)'이 꼽혔다. 이어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보험업은 전체 업무영역의 10.1% 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여겨졌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생성형 AI는 한국에서도 상당수 근로자들의 업무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67%) 가량이 업무 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현 시점의 한국 기업생산현장에 적용될 경우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이 최대 4763억 달러(한화 620조원)만큼 증가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 GDP(2150.6조원) 29%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조건도 제시했다.
우선 기업 측면에서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이에 대한 업스킬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분석적 판단 ▲유연성 ▲감성 지능이 AI 기반의 미래에서 가장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국가적 차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를 막기 위한 가드레인 마련과, 생성형 AI 사용 토대 마련을 위해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생성형 AI의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에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며 "생산성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국부 창출에 기여하게끔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韓-洪 3시간 ‘깐족대전’ 관전평…“둘다 싫어졌다” “재밌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미쓰에이 민, 프러포즈 현장 깜짝 공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호남 경선도 압승…27일 '후보 대관식' 확실시(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3상 성공에 HK이노엔, 비만약 신기술에 인벤티지랩 ‘상한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