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부도 확률 10% 넘는 ‘부실기업’…“빚, 4년 만에 2.3배”
- 금융연구원 보고서… “부실기업 부채 증가 속도 빨라”
업종별로는 부동산·운수업·건설업 부실 확대
국내 은행보단 저축은행서 부실 대출 비율 ↑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부도 확률이 10%를 넘는 부실기업의 부채가 크게 늘었다. 특히 부동산산업·운수업·건설업의 부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0일 발표한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부도 확률이 10%를 넘는 부실기업의 부채가 4년 만에 2.3배로 불어났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코스피·코스닥·코넥스·외감법인 중 비금융 기업 3만5천여개를 분석, 부도 확률이 10%를 초과하는 기업을 부실기업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기업 총부채는 2018년 1719조원에서 지난해 2719조원으로 연평균 12% 증가했다.
반면 부실기업의 부채는 같은 기간 91조원에서 213조원으로 연평균 24% 늘어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드러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운수업·건설업의 부실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기업 부도 확률을 바탕으로 업종 부도 확률을 계산한 뒤 이를 국내 은행·저축은행 대출 포트폴리오에 적용했다. 그 결과 부실 대출을 총기업 대출로 나눈 신용위험은 지난 2019년 감소한 이후 2020∼2021년 크게 늘었으며, 2022년에도 그 수준이 지속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업권별 자기자본 대비 신용위험액(부실 대출) 비율을 비교하면 국내은행(11.8%)보다 저축은행(18.8%)이 더 컸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손실 부담 능력 면에서 국내은행에 비해 저축은행의 자본확충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 “한덕수 당적 취득, 선거법 위반 아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끝, 우리는 행복했다”…김보라, 조바른 감독과 이혼 후 근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당이 공모해 韓 꽃가마"…격분한 김문수, 법정서 맹비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韓 AI신약개발 진단]① K-신약 인공지능, 美와 격차 벌어지는 까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