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삼성重, 업계 최초 ‘레이저 고속 용접 로봇’ 개발
- “멤브레인 패널 용접 속도 5배 향상”

LNG 화물창의 건조 과정은 크게 단열재 설치와 멤브레인 시공으로 이뤄진다. 극저온 LNG가 직접 닿는 멤브레인 패널 시공은 고난도의 용접 작업이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17만4000㎥급 LNG 운반선 1척에 탑재되는 4개 화물창의 멤브레인 패널 용접 길이는 60㎞에 달한다.
조선업계에선 “숙련된 용접 기능 인력의 확보가 어렵고 PAW의 생산성 향상에도 한계가 있어, 새로운 용접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많았다.
이에 삼성중공업 생산기술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레이저 용접의 기술적 특성을 응용해 멤브레인 화물창에 최적화된 고속 용접 로봇을 개발해왔다.
2m 길이의 멤브레인 패널 용접 시에 PAW는 5분 정도 걸리는 반면, 레이저 용접은 1분 만에 끝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한국형 LNG 화물창(KC-2C)에 레이저 고속 용접 로봇을 적용하는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연내 프랑스 GTT LNG 화물창(MK-Ⅲ) 적용 테스트 완료 후 발주처 최종 사용 승인을 거쳐 생산에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측,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 재판일정 변경 요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백종원, 15년 만 방송 활동 중단 선언..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개숙인 최태원 “SK그룹 전사 보안체계 검토”[전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쪼개기 보호예수’ 백종원, 더본코리아 오버행 우려 잠재울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