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택시 호출이요? 빠른 배차가 중요하죠”…카카오T가 시장 선택받는 이유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81.9% “승차 경험 중 빠른 배차가 가장 중요”
카카오T 배차시간, 타사 대비 최대 40% 빨라

[제공 카카오모빌리티]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제공하는 택시 호출 서비스가 ‘빠른 배차’ 기능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단 조사 결과가 나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이동문화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택시 이용 패턴 파악 및 서비스 개선점 발굴을 위해 진행됐다. 응답자들은 ‘빠른 배차’가 택시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고 밝혔다. 택시 배차 완료에 드는 평균 시간은 ‘카카오 T’가 타사 대비 최대 40%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업 중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의 배차시간이 가장 짧았다.

이번 조사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총 953명을 대상으로 7월 26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배회영업 택시 이용 경험이 있는 동시에 1개월 내 택시 플랫폼으로 호출한 이력이 있는 이용자로 제한했다.

응답자들은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기존 배회영업 택시 이용 시 불편했던 점을 묻는 말(복수응답)에 ▲큰길로 나가 택시를 잡는 과정(61.9%) ▲택시 승차까지 소요 시간 예측 불가(61%) ▲택시 배차까지 오랜 시간 소요(59%) ▲승차 거부(56.6%) ▲소요 시간 및 요금 사전 파악 불가(48.9%) 등을 꼽았다.

카카오 T 택시 호출 서비스 이용 후 좋아진 점에 대해선 ▲소요 시간 및 요금 예측(85.8%) ▲픽업 시간 예측(82.8%) ▲결제 편의성(82.4%) ▲원하는 곳에서 택시 승차(81.6%) ▲빠른 배차(65%) 순으로 답했다.

이 중 배회영업 택시의 불편한 점에 언급되지 않았던 ‘결제 편의성’이 카카오 T 이용 후 만족도 상위를 차지했다. 회사 측은 “기존 택시 승차 과정에서 깨닫지 못했던 결제 과정의 불편함을 플랫폼의 ‘자동결제’라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인식하게 됐다”며 “택시 서비스 만족도도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 T’는 지난 2018년 국내 최초로 택시 서비스에 자동결제 기능을 도입했다.

택시 호출 플랫폼 통한 승차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묻는 말에는 응답자 81.9%가 ‘빠른 배차’라고 답했다. 이 외에 주요 요소로는 ▲도착지 정확도(51.1%) ▲이용 요금(47.9%) ▲기사 친절도(35.6%) ▲결제 편의성(26%) ▲차량 청결도(21.6%) ▲기타(0.6%) 순이 꼽혔다.

회사는 이와 함께 새벽 시간대·외곽지역 호출 등 대안 교통수단이 없어 택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빠른 배차에 대한 니즈(요구)가 존재하는지도 살폈다. ▲0~1분 후와 1~2분 후는 각각 1.4%, 3.9% 비율을 보였지만 ▲3~5분 후에는 25.1% ▲5~10분 후에는 35.6%를 보이며 3분 후부터 호출 포기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이는 별도 이동 수단이 없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빠른 배차를 원하는 이용자들에게 3분이 지난 시점부터 배차되는 택시 서비스는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회사는 또 ‘택시 호출 후 배차 완료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에 대한 별도 실증 조사도 진행했다. ▲카카오 T(1.02분) ▲A플랫폼(1.22분) ▲B플랫폼(1.46분) 순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이용자의 호출 포기 비율이 급등한 시간대인 ‘3분’을 기준으로 플랫폼별 매칭률을 실증 조사한 결과, 카카오 T의 ‘3분 미만’ 매칭률은 92.2%로 나타나 A플랫폼(83.7%), B플랫폼(80.1%)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실증 조사는 실제 택시 탑승 과정에 있던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153명을 별도로 탐문하고 탑승기록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조사 조건의 동일성 유지를 위해 여객운수법 내 중형택시로 분류되는 일반 무료 택시∙가맹 택시 호출이 모두 가능한 택시 플랫폼으로 조사군을 한정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 T를 통해 형성된 플랫폼 호출 시장이 택시 경험 전반에서의 고객 편의성을 높인 것은 물론, 고도화된 배차 기술로 이용자의 빠른 이동을 돕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며 “택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지속 경청하고 새로운 기능 도입과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2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3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4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5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6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7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8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9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실시간 뉴스

1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2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3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4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5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