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학교 수업 NO" 자퇴 후 수능 준비 고교생 작년 2만3천명 넘어
- ‘코로나19 후 등교 수업·주요대 정시 비중 확대’ 등 영향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지난해 2만명이 넘는 고등학생이 학교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수업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서울 주요대의 정시 모집 비중이 커진 영향 또한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최근 4년간(2019∼2022년) 고등학교 자퇴생(학업 중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만3440명이 학교를 그만둔 것으로 집계됐다.
2019년 2만4068명이던 자퇴생 규모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원격 수업이 확대된 2020년 1만5163명으로 줄었다. 그러나 2021년 1만9467명으로 다시 늘어나더니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고교 자퇴생 중 과반수(51.5%)인 1만2078명은 1학년인 것으로 파악됐다. 2학년은 9271명(39.6%), 3학년은 2091명(8.9%)이었다.
최근 2년간 자퇴생이 증가한 배경으로는 코로나19 유행이 잦아들면서 등교 수업이 확대된 영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수업에 적응했던 학생들이 학교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대면 수업에 적응하기 어려워 자퇴를 선택했다는 뜻이다.
서울 주요대의 정시 모집 비중을 4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한 정책 역시 자퇴를 부추긴 요인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고교 입학 후 내신이 좋지 않을 경우 고1 2학기 때 자퇴해 이듬해 4월에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그해 수능부터 도전하려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교육 현장에서는 고교 자퇴생 증가 흐름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한다”며 “이에 대한 교육 당국의 제도적 보완과 공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金韓 단일화 협상, 23분만에 결렬…역선택 방지 두고 이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영원한 뽀빠이' 안녕히…이상용 향년 81세 별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金韓 단일화 협상, 23분만에 결렬…역선택 방지 두고 이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