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3년 이상 집에서 쉰 무직 청년 8만명…‘니트족’ 매년 늘었다

올해 5월 10명 중 4명, 3년 이상 미취업 상태로 집에서 쉬어

7월 31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 웹 3.0 페스티벌에서 해커톤(프로그래밍 경진대회) 참가자들이 웹3.0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윤 기자] 3년 이상 취업하지 않고 집에서 시간을 보낸 청년이 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8000명을 기록했다. 이들 가운데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답한 청년은 8만명으로 36.7%를 차지했다.

교육과 직업훈련을 받지 않은 무직자를 뜻하는 니트족의 비율은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다.

니트족 비율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3.9%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7.3%로 올라갔다. 1년 이상∼2년 미만 19.2%, 2년 이상∼3년 미만 21.1%로 줄어든 뒤 3년 이상일 때 36.7%로 상승했다.

구직활동과 직업 훈련, 취업시험 준비를 위해 도서관·학원을 다니는 등 취업을 위한 활동 비중을 보면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53.0%, 1∼2년 미만일 때 58.2% 등으로 50%대를 기록했다.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 36.5%로 내려갔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가운데 니트족 비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니트족 비율은 5월 기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2018년 24.0%에서 2019년 24.7%, 2020년 25.5%로 20%대를 유지한 뒤 2021년 34.7%, 지난해 37.4%로 올라섰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2'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3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4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5‘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6"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7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8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9“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실시간 뉴스

1 윤 대통령 최후진술…"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

2'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3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4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5‘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