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1위 은행 될 것” 우리은행, 인니·베트남·캄보디아서 ‘선택과 집중’
466개 해외 영업망 구축 중
“글로벌 수익 비중 2030년까지 25% 확대할 것”
중국, 러시아 등 지정학적 위기서도 리스크 관리 성공적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동남아 지역에 선제적으로 진출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우리은행이 ‘아시아 1위 글로벌 금융사’ 도전에 나선다. 향후 우리은행은 이 3개 거점을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강화해 글로벌 수익 비중을 전체의 25%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인니·베트남·캄보디아 중심의 해외 진출 강화
25일 윤석모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은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회’에서 “우리은행의 글로벌 성장 전략 핵심은 ‘현지 자체 성장’과 ‘인수합병(M&A)’”이라며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등 동남아 3대 법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당기순이익을 2030년까지 은행 전체의 25%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1968년 시중은행 최초로 동경 지점을 개설한 이후 올해 해외 진출 국가는 9월 말까지 24개국에 달하고, 466개 글로벌 영업망을 구축해 국내 은행 중 가장 많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은행 글로벌 부문은 지난해 말 당기순이익 3억4000만달러(약 4600억원)를 기록했다. 이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캄보디아 등 3개국 법인의 당기순이익 비중이 43%에 달했고, 미국과 중국을 합한 5대 법인으로 보면 이 비중은 70%를 넘었다.
우리은행은 내년 상반기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각 2억달러, 캄보디아에서 1억달러 등 총 5억달러 규모의 증자를 계획하고 있다. 세 지역에 대한 목표는 ▲인도네시아 현지 10위 은행 ▲베트남 외국계 리딩뱅크 도약 ▲캄보디아 현지 5위 등이다.
윤 그룹장은 “우리은행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를 꼽는다면 단연 인도네시아 우리소다라은행”이라며 “2014년 소다라은행을 합병한 이후 자산은 2배, 순이익은 4배 증가해 인도네시아 전체 20위권 중형 은행으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폴란드·중동서 금융 확대 기대”
윤 그룹장은 차기 글로벌 거점 지역으로 폴란드와 중동 지역을 꼽았다.
우리은행은 폴란드 카토비체에 2017년 1월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 지역에 현대차, 기아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다수 포진해 있고, 상업 중심지라는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과 폴란드 간 최대 30조원으로 추산되는 무기 수출 계약이 체결되면서 폴란드에서의 금융 확대도 기대되는 중이다.
우리은행은 바레인과 두바이를 거점으로 중동지역에 진출해 있다. 직원 수는 각각 12명과 19명이다.
윤 그룹장은 “바레인 지점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해 네옴시티와 직접 관련된 대규모 신디케이론 등 인프라금융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두바이는 한국계 기업 진출이 활발한 만큼 전통적인 기업금융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中 부동산 관련 여신 한 건도 없어”
윤 그룹장은 최근 글로벌 지정학적 불안 확대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중국의 부동산 위기에 대해 “우리은행은 중국 부동산 개발 관련 여신이 한 건도 없다”며 “97% 이상이 담보를 가지고 있어 충분히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리스크에 대해서는 “전쟁 이후로 러시아 법인의 여신 규모를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놨다”며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각각 법인과 지점, 사무소가 있지만 송금과 같은 최소 서비스 업무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그룹장은 해외 직원의 업무 순환과 관련해서도 “해외에서 해당 지역의 업무 일관성이 중요하고 한 사람이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며 “건전성 측면에서 (지금까지) 잘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니·베트남·캄보디아 중심의 해외 진출 강화
25일 윤석모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은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회’에서 “우리은행의 글로벌 성장 전략 핵심은 ‘현지 자체 성장’과 ‘인수합병(M&A)’”이라며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등 동남아 3대 법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당기순이익을 2030년까지 은행 전체의 25%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1968년 시중은행 최초로 동경 지점을 개설한 이후 올해 해외 진출 국가는 9월 말까지 24개국에 달하고, 466개 글로벌 영업망을 구축해 국내 은행 중 가장 많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은행 글로벌 부문은 지난해 말 당기순이익 3억4000만달러(약 4600억원)를 기록했다. 이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캄보디아 등 3개국 법인의 당기순이익 비중이 43%에 달했고, 미국과 중국을 합한 5대 법인으로 보면 이 비중은 70%를 넘었다.
우리은행은 내년 상반기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각 2억달러, 캄보디아에서 1억달러 등 총 5억달러 규모의 증자를 계획하고 있다. 세 지역에 대한 목표는 ▲인도네시아 현지 10위 은행 ▲베트남 외국계 리딩뱅크 도약 ▲캄보디아 현지 5위 등이다.
윤 그룹장은 “우리은행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를 꼽는다면 단연 인도네시아 우리소다라은행”이라며 “2014년 소다라은행을 합병한 이후 자산은 2배, 순이익은 4배 증가해 인도네시아 전체 20위권 중형 은행으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폴란드·중동서 금융 확대 기대”
윤 그룹장은 차기 글로벌 거점 지역으로 폴란드와 중동 지역을 꼽았다.
우리은행은 폴란드 카토비체에 2017년 1월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 지역에 현대차, 기아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다수 포진해 있고, 상업 중심지라는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과 폴란드 간 최대 30조원으로 추산되는 무기 수출 계약이 체결되면서 폴란드에서의 금융 확대도 기대되는 중이다.
우리은행은 바레인과 두바이를 거점으로 중동지역에 진출해 있다. 직원 수는 각각 12명과 19명이다.
윤 그룹장은 “바레인 지점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해 네옴시티와 직접 관련된 대규모 신디케이론 등 인프라금융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두바이는 한국계 기업 진출이 활발한 만큼 전통적인 기업금융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中 부동산 관련 여신 한 건도 없어”
윤 그룹장은 최근 글로벌 지정학적 불안 확대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중국의 부동산 위기에 대해 “우리은행은 중국 부동산 개발 관련 여신이 한 건도 없다”며 “97% 이상이 담보를 가지고 있어 충분히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리스크에 대해서는 “전쟁 이후로 러시아 법인의 여신 규모를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놨다”며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각각 법인과 지점, 사무소가 있지만 송금과 같은 최소 서비스 업무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그룹장은 해외 직원의 업무 순환과 관련해서도 “해외에서 해당 지역의 업무 일관성이 중요하고 한 사람이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며 “건전성 측면에서 (지금까지) 잘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로또 1154회 1등 당첨번호 ‘4·8·22·26·32·38’…보너스 ‘27’
2‘증권업계 대부’ 강성진 전 한국증권업협회장 11일 별세...향년 98세
3블랙박스 ‘메이데이’ 선언 무렵부터 끊겼다…“전원 셧다운 가능성”
4신작으로 반등 노리는 위메이드
5지난해 국내 증시 불안 속 대형 증권사는 웃었다
6뉴욕 밀치기 범죄 공포…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최고’
7'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8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9"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