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탈구 빈번한 말티즈... '맞춤형 펫보험' 나온다
손보협회, 상위 10개 견종 질환 및 진료비 조사
관련 정보 통해 견종 맞춤형 상품 개발

손해보험협회는 15일 반려동물 품종(상위 10개 견종)에 따른 연령대별 발생질환, 진료행위 및 진료비 수준을 조사해 보험사가 맞춤형 보험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협회는 반려동물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52개 질환을 선정해, 품종 및 연령에 따른 질환별 발생비율을 진료과목별로 구분한다. 이후 각 질환에 대한 국내‧외 주요 진료행위 및 진료비용을 조사해 펫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에 제공하게 된다.
보험사에 제공하는 정보는 '견종-연령-질환명-진료명-진료비용'이다. 예컨대 3세 이하 푸들이 슬개골탈구 진료를 받았다면 '푸들-3세 이하-슬개골탈구-활차구성형술-진료비' 순으로 정보가 제공된다.


반려인들 스스로 반려동물의 잠재적 건강문제에 대한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검진, 접종 등의 준비를 하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다.
10대 견종 선정기준은 농림부 등록 전체 반려견 중 상위 10개종(말티즈·푸들·포메라이안·시츄·비숑프리제·요크셔테리어·진도견·치와와·스피츠·닥스훈트)이다. 이는 전체 견종 비중에서 약 66%(약 210만마리)를 차지한다.
‘건강관리 가이드라인’은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보험사에서는 고객 안내자료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편 보험업계와 동물병원협회는 지난 7일 간담회를 개최하고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에 공감했다. 추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동물진료, 보험제도개선 이슈별로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2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3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4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5'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6"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7박상우 국토부 장관 “국민의 삶 흔들리지 않도록…안전 관리 최우선”
8‘관세’에다 ‘탄핵’ 변수까지...금융지주들 위기관리 대응 ‘총력’
9“우리 금쪽이는 소중하니까”...호텔 돌잔치 21%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