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현대차, 지난해 영업이익 15조원 돌파...사상 최대 기록

매출 162조 6636억 원·영업이익 15조 1269억 원

현대차가 지난해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사진은 현대차 양재 사옥. [사진 현대차]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현대자동차가 사상 처음으로 연간 영업이익 10조 원대를 돌파했다.

현대차는 25일 경영 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총 421만 6898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연간 경영 실적은 매출액 162조 6636억 원, 영업이익 15조 1269억 원, 당기순이익 12조 2723억 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4.4%, 54%, 53.7%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판매 108만 9862대, 매출액 41조 6692억 원(자동차 33조 4622억 원, 금융 및 기타 8조 2070억 원), 영업이익 3조 4078억 원, 경상이익 3조 2581억 원, 당기순이익 2조 2026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으로 집계됐다.

현대차의 2023년 4분기 판매는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지역의 견조한 판매 성장세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판매 대수 증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등의 긍정적인 요인을 기반으로 전년 동기보다 확대됐다.

현대차는 올해 신흥국 위주 매크로(거시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실물경제 침체 등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환율 변동성 확대, 업체간 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 관련 비용 증가가 경영 활동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주요 국가들의 환경 규제 강화 및 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 친환경차 선호 확대 등에 따라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친환경차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현대차는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글로벌 인지도 제고 및 ‘디 올 뉴 싼타페’ 등 하이브리드 라인업 지속 강화를 통한 친환경차 판매 확대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최대화 ▲볼륨 차종인 투싼, G80의 부분변경 모델을 앞세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등으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할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주요 시장의 수요 확대를 통한 판매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높은 금리 수준 등 대외 매크로 변수로 인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

6스마트 로봇 혁신지구로 거듭나는 '대구 침산공단'... 로봇부품 생산거점으로 속속 전환

7역대급으로 찾아온 대구 치맥 페스티벌, '대구로'와 손잡고 각종 연계서비스 출시

8경북 바이오·백신산업, 국제백신연구소와 손잡고 세계 시장 도약

9대구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의장에 이만규 의원 재선

실시간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