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중국, 美 국채 보유량 2009년 이후 최저...‘달러’ 팔아서 ‘금’ 샀다

2013년 후 지속 감소

미국 달러 지폐와 중국 위안 지폐.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글로벌 자산 다각화를 위해 금과 같은 자산의 매입을 늘린 것으로 분석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투자자들이 보유한 미 국채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7590억 달러로 1년 전보다 570억 달러 감소했다. 이는 중국 투자자들이 중국 이외 지역에 있는 계정을 통해 보유한 미 국채는 제외된 수치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감소는 2013년 11월(1316억 달러)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7년 말 1조 1840억 달러, 2018년 1조 1240억 달러, 2019년 말 1조 690억 달러, 2020년 말 1조 720억 달러, 2021년 말 1조 400억 달러, 2022년 말 8천 670억달러, 2023년 말 8천 160억 달러 등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2009년 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감소 배경에 대해 금 등으로 대외 자산을 다각화하는 수요를 일부분 반영한다고 판단했다.

미 재무부 관리 출신인 미국외교협회(CFR) 선임 연구원 브래드 세서는 "중국은 2010년께 미 국채 보유가 위험하다는 결정을 내렸다"며 "중국의 많은 부를 지정학적 경쟁자의 손에 맡긴다는 것이 좋지 않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