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두고 '가시나?'...급락한 '선미야클럽 NFT'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해당 NFT는 2022년 발행 당시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팬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 홍보됐으나, 이후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듯한 모습에 해당 투자자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선미야클럽’은 선미의 모습을 형상화한 디지털 일러스트 NFT로, 보유자에게 독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품 투자가치를 높였다. NFT 보유자들에게는 선미 팬미팅 초대, 특별 파티 참석 기회, 수익 일부 환원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고 홍보됐다.
그리고 혜택을 앞세워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9,300개의 NFT가 완판되며 수십억 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G마켓, 롯데홈쇼핑 등과 협업하고 가상자산 채굴을 지원하면서 NFT 가격이 해외 거래소에서 급등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 테라·루나 사태,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FTX 파산 등으로 인해 가상자산 시장이 급락하면서 선미 NFT의 가치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때 개당 수백만 원에 거래되던 NFT는 현재 수만 원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더 큰 문제는 2023년부터 선미의 NFT 관련 활동이 사실상 중단됐다는 점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선미와 발행사가 약속했던 혜택을 이행하지 않았으며, NFT를 통한 가상자산 지급도 중단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선미와 발행사가 러그풀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는 상황이다. 러그풀이란 프로젝트 관계자가 과대 광고로 투자자를 유인한 뒤, 자신을 위해 투자 자금을 회수하고 프로젝트를 방치하는 악의적인 행위를 뜻한다.

그러나 발행사의 주장과 달리 해당 NFT와 연계된 가상자산은 국내에서 상장되지 못했으며, 투자자 보호 대책 없이 지급이 중단된 상태다. 이에 따라 연예인을 내세운 NFT 프로젝트의 법적 보호 장치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2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3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4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5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6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7'故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골때녀 하차한다
8‘월세 1만원’ 정책, 지자체별 월세 지원책 살펴보니
9JMS 고발한 ‘나는 신이다’ PD, 성폭법 위반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