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카 용돈 못 뽑았네”…설 연휴 운영하는 ATM 위치 어디?
네이버지도‧카카오맵 등 지도플랫폼, 전국 ATM 운영정보 제공
‘이체 수수료’ 알아보려면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어플 활용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설날 연휴에는 은행 대부분의 점포가 문을 닫는다. 이에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은행원의 역할을 대신한다. ATM에서는 현금인출‧잔고조회‧계좌이체 등이 가능해 금융기관 영업시간이 아니더라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명절 연휴 부모님·조카 등에 건넬 현금 용돈을 준비하지 못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근처의 ATM 찾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좋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소비자들은 ‘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를 통해 지점‧ATM 기기 위치와 이용시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금융대동여지도는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이 2021년 11월부터 금융결제원, 금융권과 공동으로 범금융권 ATM·지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이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우선 금융소비자들이 ATM 운영정보에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네이버지도·티맵·카카오맵 등 국내 지도플랫폼을 통해서다. 이를 통해 금융회사별 ATM·지점명, 주소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일부 플랫폼에선 해당 ATM 기기의 운영시간 정보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지도 앱에 접속해 ‘ATM’이라고 검색하면, 근처에 있는 ATM 위치와 운영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특히 금융회사뿐 아니라 서민금융기관·자동화기기사업자(CD/VAN)가 운영하거나 편의점 내에 있는 ATM 정보도 확인 가능하다.
ATM 운영방식에 대한 더 구체적인 정보는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앱을 설치해 알아볼 수 있다. 이 앱에서는 지점 위치와 운영시간과 같은 단순 정보 외에도, 휠체어 고객 이용가능 여부와 공과급 수납업무 처리가능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ATM ‘이체 수수료’에 대해 궁금한 금융소비자라면, 금융맵 앱을 통해 미리 수수료 기준을 확인한 뒤 방문하는 것이 좋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부터는 카카오맵에도 ATM 기기 등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해 정보공유 플랫폼의 다양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많아 현재는 플랫폼에서 ATM 정보를 검색할 때 공유되는 정보에 한계가 있다”면서도 “올해는 은행권과 협의를 거쳐 지도 플랫폼 내에서도 해당 서비스를 고도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
616주 동안 올랐던 기름값…이번 주 떨어지나
7中 ‘트럼프 관세’에 맞대응…”펜타닐은 미국의 문제”
8 中, 트럼프 관세에 "WTO 제소…상응 조치 취할 것"
9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미국산에 25%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