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발목 잡혔다...모델 Y 보조금 195만원
1만3000여대 팔렸지만 올해 실적 꺾일 듯
모델Y 국고보조금, 작년 대비 62% 감소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정부의 새로운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테슬라가 울고 있다. 올해 지원받는 전기차 보조금 규모가 전년 대비 60% 이상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1만대 이상 팔린 모델Y의 판매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0일 환경부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RWD)의 올해 국고보조금은 195만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514만원) 대비 62% 감소한 수치다.
이에 따라 테슬라 모델 Y 판매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만3885대가 팔리며 현대차 아이오닉 5(1만6625대)와 경쟁할 수 있었던 것은 500만원이 넘는 국고보조금이 뒷받침된 덕분이다.
업계에서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고 보고 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6일 보조금 지침(안)을 행정예고하고 ▲성능 좋고 안전한 전기차 보급 촉진 ▲배터리 기술혁신 유도로 전기차 친환경성 제고 ▲전기차 사후관리·충전여건 개선을 위한 제작사 노력 유도 ▲경제적 취약계층·청년 및 소상공인 전기차 진입장벽 완화 등의 보조금 개편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새로운 보조금 정책의 핵심은 배터리효율계수(성능), 배터리환경계수(재활용) 등이다. 배터리 성능과 재활용 가치 등을 따져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모두 국내 배터리 제조사의 제품을 탑재한 차량에 유리한 조건이다.
배터리효율계수는 에너지 밀도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것이다. 배터리 밀도가 500Wh를 초과해야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다.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는 해당 조건을 충족한다. 중국 제조사 등이 공급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대부분 에너지 밀도가 400Wh 이하다.
배터리환경계수도 새로 도입된 항목이다. 배터리에 포함된 유가금속의 무게(kg당) 가격을 따진 뒤 가격이 낮을수록 보조금을 삭감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원자재 가격이 비싼 NCM 배터리가 저렴한 LFP 배터리보다 유리하다.
해당 보조금 지침(안)에 대한 수입차 업계의 반응은 대부분 “국내 제조사에 국고보조금을 몰아주겠다는 것”이었다. 실제 올해 국고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모델은 현대차 아이오닉 5와 6다. 두 모델은 최대 690만원을 지원받는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국산차에 유리한 조건인 것은 알고 있었지만, 예상했던 것보다 보조금이 많이 줄어 셈법이 복잡해진 업체들이 많다”고 “새로운 보조금 정책으로 가장 타격이 큰 업체는 테슬라인 것으로 보여진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
2국제유가, 하락세…IEA, 세계 원유 수요 전망 '뚝'
3‘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4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5라이엇 게임즈, 요아소비 ‘이쿠라’와 협업한 시네마틱 공개
6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7"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8'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9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