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확대 어렵자 ‘고금리 장사’ 나선 銀…가장 심한 곳은?
[이코노미스트 데이터랩 보고서] 진정한 리딩 금융은③
5대 금융그룹 지난해 이자이익 49.2조원
‘농협은행’ 예대금리차, 5대 은행서 가장 커
“단기 예금인 시·도금고 등 많은 특수한 상황”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5대 금융그룹이 지난해 50조원에 육박하는 이자이익을 달성했다. 국내 경제는 저성장의 불황에서 허덕였지만, 금융그룹들은 최대 계열사인 은행의 호실적으로 바탕으로 높은 수익을 만들 수 있었다. 가계대출 성장이 멈춘 가운데서도 금리를 높여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차)를 확대한 점이 호실적 배경이다. 기업대출 잔액도 크게 늘며 그룹의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줬다.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의 지난해 이자이익은 총 49조199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0.3%(1712억원)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은행별로 KB금융 이자이익이 12조1417억원(전년 동기 대비 5.4%↑)으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금융 10조8179억원(2.1%↑) ▲하나금융 8조9530억원(0.6%↓) ▲우리금융 8조7430억원(0.5%↑) ▲NH농협금융 8조5441억원(10.6%↓) 순을 기록했다.
그룹의 이자이익 중 84.1%는 최대 계열사인 은행에서 나왔다. 5대 은행의 같은 기간 이자이익은 총 41조3878억원으로 4.9%(1조9266억원) 증가했다. 은행별 이자이익을 보면 KB국민은행이 9조8701억원(6.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신한은행 8조4027억원(4.2%↑) ▲하나은행 7조9174억원(4.1%↑) ▲NH농협은행 7조7616억원(11.9%↑) ▲우리은행 7조4360억원(0.2%↑) 순이다. 5대 은행이 모두 이자이익 규모를 확대한 모습이다.
다만 5대 은행의 원화대출금 증가율은 지난해 3.5%를 기록했다. 이자이익 증가율(4.9%)에는 못 미쳤다. 은행별 원화대출 증가율을 보면 하나은행 6.4%, 우리은행 5.9%, 신한은행 3.2%, KB국민은행 1.5%, NH농협은행 1.0% 순이다. 은행들은 고물가·저성장 여파로 대출 자산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대출 금리를 높이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이자이익을 확대할 수 있었다.
특히 은행권에서 주목을 받은 곳은 NH농협은행이다. 원화대출금 증가율은 5대 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이자이익 증가율이 11.9%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예대금리차 확대에서 이유를 찾고 있다.
은행연합회가 2년 전부터 공시하기 시작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NH농협은행의 가계예대금리차는 1.74%포인트(p)를 기록해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의 가계예대마진차는 0.77%p, KB국민은행은 0.72%p, 하나은행은 0.53%p, 신한은행 은 0.43%p를 기록했다.
NH농협은행의 지난 한 해 평균 가계예대금리차 역시 1.27%p로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가계와 기업, 정책서민금융까지 모두 합한 예대금리차도 마찬가지로 NH농협은행이 1.52%p를 기록해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고, 이 수치가 가장 낮은 신한은행(1.08%p)과 비교하면 0.43%p로 차이가 컸다. 예대금리차가 다른 은행보다 크다는 것은 예금금리에 비해 대출금리를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NH농협은행이 이 같이 예대금리차를 키운 결과 지난해 당기순이익으로 1조780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농업지원사업비 부담 전 순이익은 2조238억원이다. 순이자마진(NIM)은 1.96%(카드 제외 시 1.83%)를 기록해 KB국민은행(1.83%), 하나은행(1.52%), 신한은행(1.51%), 우리은행(1.47%)보다 높았다. NIM은 은행의 주요 수익성 지표로,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으로 나눈 수치다.
다만 NH농협은행은 특수한 상황 때문에 예대금리차가 높다는 입장이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시·도금고나 지방금고가 다른 은행보다 많고, 이 예금 만기는 보통 1~3개월로 짧을 뿐 아니라 내년 사업비축금 때문에 연말에 예금 만기가 잡히는 경우도 많다”라며 “이런 이유로 금고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와의 차이가 발생해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5대 은행, 대출 자산 744조원
지난해 가계대출이 정체되어 있는 동안 기업대출은 크게 늘면서 대출 자산과 이익 확대에 도움을 줬다. 지난해 말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744조6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다. 반면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1241억원 감소한 692조4094억원을 기록했다.
은행별 기업대출 잔액은 ▲KB국민은행 175조1573억원(전년 동기 대비 7.7%↑) ▲하나은행 162조460억원(11.9%↑) ▲신한은행 160조6834억원(6.6%↑) ▲우리은행 142조5460억원(10.3%↑) ▲NH농협은행 104조2237억원(5.7%↑) 순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기업대출을 바탕으로 하나은행이 지난해 순이익으로 3조4766억원을 기록, KB국민은행(순이익 3조2615억원)을 따돌리고 리딩뱅크를 수성했다고 본다. 하나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0.29%에 그쳤다. 우량 기업 중심으로 기업대출을 늘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하나은행이 기업대출에 강한 은행이 되고 있는데 오랜 기간 기업과의 관계를 잘 유지해온 결과”라며 “대출 금리가 떨어지고 있어 기업대출 규모를 얼마나 확대하느냐에 따라 은행 순위가 다시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1월 소비자심리지수 ‘꿈틀’
2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 당시 공항공사 사장 숨진 채 발견
3알바생 2명 중 1명 “알바 임금 문제 겪었다”
4 尹 대통령 측 “한달 전부터 주치의가 치료 받으라고 권유”
5‘서민의 발’ 수도권 지하철 요금 150원 오른다
6“트럼프 발언에 혼란”...코스피, 2518에 약보합 마감
7이동통신 유통업계 “단통법 폐지 큰 기대 없다”
8‘블루 아카이브’ 일본 서비스 4주년 업데이트로 일본 1위 탈환
9트럼프 無 언급 ‘비트코인’, 취임식 직후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