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리 동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로 바꿨더니…81%가 ‘만족’

10명 중 7명 “주말에도 언제든 마트 이용 가능”
54%, 의무휴업 평일 전환 다른 지역까지 확대해야

지난 1월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일요일에서 평일로 바꾼 지역의 소비자 만족도가 81%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충북 청주시, 서울시 서초구‧동대문구 지역의 대형마트 및 기업형슈퍼마켓(SSM)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520명을 대상으로 대형마트 및 SSM(기업형 슈퍼마켓)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에 따른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만족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1.2%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 영업규제는 2012년부터 시행된 제도다. 그동안 국내 대다수 지자체는 대형마트의 휴무일을 월 2회 공휴일로 지정해 의무 휴업하도록 했다. 지역에 따라 첫째·셋째 주 일요일, 둘째·넷째 주 일요일에 대형마트가 문을 닫은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일부 지자체가 기준을 완화하면서 이해 당사자와 협의를 거쳐 휴업일을 주중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지난해 대구시(2월)와 충북 청주시(5월)에 이어 올해는 서울시 서초구(1월), 동대문구(2월)가 대형마트와 SSM 의무 휴업일을 2‧4주 차 일요일에서 평일로 변경했다.

해당 지역에서 공휴일에도 대형마트를 이용한 소비자들은 ‘주말에 언제든지 대형마트‧SSM 이용 가능’(69.8%), ‘일요일에 여유롭게 장을 볼 수 있어’(57%), ‘의무 휴업일을 신경 쓰지 않아도 돼서’(45.7%) 등 만족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서초구(87.2%), 동대문구(81.4%), 청주시(78.1%)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응답자의 과반(53.8%)은 의무휴업 평일 전환이 다른 지역까지 확대되는 데 찬성했다. 동의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는 12.2% 수준이었다. 이는 소비자가 대형마트 의무휴업 일이어도 전통시장을 이용하지 않는 것과 관계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대형마트‧SSM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이 전통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무관하다는 의견이 61%에 달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유통의 중심축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중국 온라인 쇼핑플랫폼의 확장세로 오프라인 유통의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소비자 이용 편의 및 선택권 보장 측면에서라도 정책 방향이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거래소, 2024년 상반기 회원사 대표이사 간담회 개최

2삼성자산, KODEX 미국AI테크TOP10 ETF 상장

3한투운용 ETF 순자산 10조 돌파…KB운용과 점유율차 1% 이내

4SK이노 소셜 벤처 ‘마린이노베이션’…美 진출 기회 모색

5한국아이테라피센터, ‘전문 시기능훈련’ 세미나 개최

6현대제철, 탄소저감 강판 판매 기반 구축…유럽 고객사와 MOU

7스타라이크, ‘콘텐츠 전문가’ 문현웅 CSO 영입…“탄력적 성장 기대”

8현대건설‧신한라이프케어, '시니어 주거모델 개발' 협력

9코인거래소 파산하면 은행이 이용자에게 예치금 지급한다

실시간 뉴스

1한국거래소, 2024년 상반기 회원사 대표이사 간담회 개최

2삼성자산, KODEX 미국AI테크TOP10 ETF 상장

3한투운용 ETF 순자산 10조 돌파…KB운용과 점유율차 1% 이내

4SK이노 소셜 벤처 ‘마린이노베이션’…美 진출 기회 모색

5한국아이테라피센터, ‘전문 시기능훈련’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