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고개 드는 ‘영끌족’…4월 가계대출 5.1조원 증가 전환

한은 ‘2024년 4월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
은행 가계대출 1103조6000억원
기업대출 11.9조원 증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다시 확대되고 있다. 주택 매매거래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신용대출도 다시 증가하려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3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1000억원 증가했다. 

3월에는 1조7000억원 감소하며 지난해 4월 이후부터 이어져오던 증가세가 1년 만에 꺾였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로 전환한 모습이다. 

가계대출 증가 전환은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기타대출이 증가로 전환된 영향을 받았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매매거래 증가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 은행 재원 공급분 확대 등으로 3월의 5000억원 증가에서 4월에 4조5000억원 증가로 증가폭을 확대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보면 올 1월 3만1000호, 2월 3만호, 3월 3만9000호로 매달 증가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도 4월에 6000억원 증가를 기록했다. 기타대출은 2월에 2조8000억원 감소하고 3월에도 2조2000억원 줄었지만 4월 들어와 증가로 전환했다. 한은은 신용대출 상환 규모 축소와 3월의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등으로 소폭 증가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제공 한국은행]
기업대출은 견고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4월 중 은행 기업대출은 11조9000억원 증가했다. 총 잔액은 1284조6000억원이다. 증가액은 2월의 8조원, 3월의 10조4000억원보다 커졌다. 

한은은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은행들의 기업대출 확대 전략이 지속되며 증가폭 확대됐다고 밝혔다.

은행의 수신은 은 수시입출식예금 위주로 큰 폭 감소 전환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부가세 납부, 배당금 지급 등을 위한 기업자금 인출 등으로 3월의 48조5000억원 증가에서 4월의 45조원 감소로 전환했다. 

정기예금은 3월의 13조3000억원 감소에서 4월의 4조7000억원 감소로 감소 규모가 줄었다. 가계자금 예치가 지속됐지만 만기가 도래한 법인예금이 유출되면서 전월에 이어 감소가 이어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6‘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7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8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9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실시간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