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일리톨 너마저..."심장마비, 뇌졸중 위험성 높여"

美 클리블랜드 러너 연구소 논문
"혈소판 더 쉽게 응고할 수 있어"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설탕 제품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 대신 사용하는 감미료 '자일리톨'이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각) CNN 등 미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클리블랜드 러너 연구소의 연구팀은 자일리톨이 주요 심장질환(MACE)이 발생할 위험을 높이는 것과 관련돼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유럽심장저널에 게재했다. 자일리톨이 혈전증 등의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는 뜻이다.

해당 논문에는 2004년부터 2011년부터 심장질환 환자의 혈액 표본 1157개와 심장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2100명 이상의 혈액 표본을 분석한 결과가 담겨 있다. 연구 결과, 자일리톨이 혈소판을 더 쉽게 응고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됐다. 혈전이 응고되면 심장으로 이동해 심장마비를 일으키거나, 뇌로 이동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자일리톨 수치가 가장 높은 사람의 심장마비와 뇌졸중, 사망 위험이 자일리톨 수치가 낮은 사람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일리톨은 콜리플라워, 가지, 양상추, 시금치, 딸기와 같은 식품에서 발견되는 천연 당 알코올이다. 껌이나 치약 등 제품에 설탕의 대용으로도 쓰인다.

저칼로리 식품·음료업계의 협회인 칼로리통제위원회의 카라 손더스 회장은 이번 연구 결과가 "저칼로리 감미료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한 과학적 증거와 상반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체중 감량이 목적인 대체 감미료를 피하라고 경고하며 저칼로리 감미료의 장기적 유독성에 대한 추가 연구를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를 수행한 클리블랜드 러너 연구소의 스탠리 헤이즌 박사는 CNN 인터뷰를 통해 "인류가 설탕을 대체하기 위해 자연스럽지 않은 가공식품을 활용하기 시작한 최근 20년 동안, 자일리톨을 이렇게 높은 수준으로 경험한 적이 없었다"며 "대체 감미료의 사용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진 미지의 영역"이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27주 이어진 주유소 기름값 하락세…다음주 상승세로 변하나

3월성원전 4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수 2.3톤 바다로 누설됐다는데…

4애플, 유럽에서 자사 기기에 AI 기능 탑재 보류한 이유 알아보니

5美 총기 규제 탄력 받나…미 대법 ’가정 폭력범 총 소유 금지’는 합헌 결정

6엔비디아 주가 3% 하락했지만…전문가들 “반등할 것”

7“이 조합 위험하다”...CU·연세, 우유 넣은 팝콘까지 만들었네

8국내 증시 대신 해외 주식 택하는 개미들... 해외주식 보관액 역대 최대 기록

91960년 한국 평균 합계계출산율 6명, 2022년에 0.78명으로 추락

실시간 뉴스

1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27주 이어진 주유소 기름값 하락세…다음주 상승세로 변하나

3월성원전 4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수 2.3톤 바다로 누설됐다는데…

4애플, 유럽에서 자사 기기에 AI 기능 탑재 보류한 이유 알아보니

5美 총기 규제 탄력 받나…미 대법 ’가정 폭력범 총 소유 금지’는 합헌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