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글로벌 중앙은행 ‘금 사재기’에도…한국은행은 ‘신중론’

[금 나와라 뚝딱]③ 
중국·폴란드 등 금 매입…금값도 ‘쑥’
한은 “美 달러화 유동성 유지가 바람직”
전문가 “외환보유액 내 금 비중 2%까지 높여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골드바 상품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각국 중앙은행이 ‘안전자산’인 금(金) 보유 비중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10년간 단 1g도 늘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은 금 보유 확대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현 시점에선 미 달러화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금값 ‘쑥’ 각국 중앙은행도 사들여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금값은 지난 6월 25일 온스당 2325.05달러를 기록했다. 금값은 1년 만에 21.2% 가량 올랐다. 이 같은 금값 상승세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등 은행부문 불확실성에 따라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사재기’ 또한 금값 상승세에 한 몫 했다. 각국 중앙은행은 지난해 총 금 1037.4톤(t)을 사들였다. 2022년 역대 최대 규모인 1081.9t을 매입한 데 이어 2년 연속 1000t 이상 매입한 것이다. 

특히 중국 등 일부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눈에 띄었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금 보유량은 2226.4t으로 세계 6위 수준이다. 중국은 지난해 한 해 동안에만 215.9t의 금을 추가로 사들였다. 또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폴란드는 지난해 금 130.0t을 매입해 순위가 직전 23위에서 15위로 뛰어올랐다. 폴란드는 작년 말 기준 금 358.6t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은행들이 금을 매입하는 이유는 미국 달러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투자다변화를 위한 목적이 크다. 특히 러·우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일부 국가들의 금 매입을 촉발한 것으로 보인다. 

각국 중앙은행은 추가적인 금 매입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GC는 전 세계 중앙은행 7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 국가의 29%는 내년까지 자체 금 보유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선진국 중앙은행 가운데 57%는 향후 5년 내로 금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조사 당시 38%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수치다. 반면 달러 비중 감소를 전망한 선진국 중앙은행 비율은 1년 새 46%에서 56%로 늘었다. 


한국은행, 금 보유량 10년간 ‘제자리’
한국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금 보유량은 104.4t이다. 이는 2013년 말 기준 보유량과 동일한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2013년 당시 20t의 금을 사들인 뒤 10년 동안 금 매입에 나서지 않았다.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2013년 세계금위원회 127개 국가 중 32위에 해당했지만, 현재는 38위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금 매입을 하지 않는 동안 다른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매입에 나서면서 순위가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의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미미하다. 지난해 말 장부가 기준 금 비중은 1.1%에 불과하다. 이에 일각에선 한국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미국 달러 지수와 금값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면서 “장기추이를 보면 달러 지수가 떨어질 것이고, 이에 금 보유액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한국은행 외환보유액 중 금 비중이 1%대인데, 지난 5월 세계 중앙은행의 평균 금 보유 비중은 12.3%”라며 “해당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금 비중을 2%까진 높여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 중 금 보유 확대에 대해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은 기타통화들과는 달리 시장전망을 반영해 적극적으로 비중을 조정할 수 있는 운용자산이 아니다”라며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여타통화들 대비 낮은 데다, 만일 시장전망이 바뀌어 매도할 경우 금은 최후수단이라는 인식이 있어 시장에 예상치 못한 시그널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한국은행은 금 보유 확대보단 미 달러화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잠재돼 있는 상황에서 금보유 확대보단 미 달러화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나은 선택”이라며 “특히 2018년 이후 금 가격이 미 정부채 투자성과와 상당수준 커플링(동조화)되고 있어, 달러화 유동성으로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를 매도하고 금을 매수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금 가격이 전고점에 근접한 상황에서 향후 상승 여력이 불확실한 점도 고려할 요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에 따라 미 달러화 강세가 언제든 나타날 수 있고, 금보유 기회비용인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돌아선 점도 가격상승 제약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은행, 올해 태어난 신생아에 축하금 5만원

2목동 재건축 시작한다…6단지, 2173세대 최고 49층

3후이즈, 새 국가도메인 등록 준비

4北, 해외유학생 불러들이나…‘사상 교육’ 재개 정황

5‘미국 투자 타이밍’ 궁금하다면…이 세미나 주목

6정유라 “엄마, 지인 못알아봐 살려달라”…수감중 최순실 치매 의심

7국립의료원 응급실에 택시 돌진…운전자 ‘급발진’ 주장

8‘시청역 사고’ 스키드마크 없어…호텔 나오자마자 가속

9디랩스 게임즈, AI 기반 NFT 플랫폼 기업 Batching.AI와 파트너십 체결

실시간 뉴스

1우리은행, 올해 태어난 신생아에 축하금 5만원

2목동 재건축 시작한다…6단지, 2173세대 최고 49층

3후이즈, 새 국가도메인 등록 준비

4北, 해외유학생 불러들이나…‘사상 교육’ 재개 정황

5‘미국 투자 타이밍’ 궁금하다면…이 세미나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