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인거래소에 아닌 밤중 홍두깨?…예치금 이용료율 ‘실시간 난투극’

업비트, 빗썸 발표하자 30분 만에 깜짝 상향
빗썸도 곧바로 올려…코빗, 연 1.5%→2.5%로 급습

[사진 빗썸 홈페이지 캡처]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원화마켓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원화 예치금 이용료율을 실시간으로 올리고 있어 때아닌 과당경쟁 논란이 예상된다.

20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업계 1위 거래소인 업비트는 지난 19일 오후 10시 9분 업비트는 이용자 예치금에 대해 연 1.3%의 요율을 적용한다고 공지했다.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 지급은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따른 것으로, 업비트보다 앞서 코인원(연 1.0%)과 고팍스(연 1.3%)가 발표했다.

[사진 업비트 홈페이지 캡처]
이후 19일 오후 11시 20분 2위 거래소 빗썸도 예치금 이용료율을 연 2.0%로 적용해 고객들에게 지급하겠다고 공지했다. 문제는 업비트가 빗썸의 발표가 채 30분도 지나지 않은 오후 11시 59분에 돌연 연 2.1%의 이용료율을 지급하겠다고 재공지한 점이다.

이에 빗썸도 20일 자정(0시) 넘어 다시 “이용료율을 2.2%로 상향 조정한다”고 재공지했다. 업비트의 재공지가 나온 지 30분도 되지 않아 발생한 일이다. 

[사진 코빗 홈페이지 캡처]
점입가경으로 업계 4위 거래소인 코빗이 20일 오전 1시 예치금 이자율을 연 2.5%로 상향 조정했다고 재공지했다. 상향 이전에는 연 1.5%였으므로 무려 1%포인트(p)나 올랐다.

이들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율은 현재 시중은행의 파킹통장 이자율이 연 2%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낮지 않은 수준이다. 고객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거래소를 찾아가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체 정책을 손쉽게 바꾸는 것은 이용자들에게 충분히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상자산업감독규정 제5조(예치금이용료)은 “가상자산사업자는 예치금이용료 산정기준 및 지급 절차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예치금의 이용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이 경우 예치금이용료는 운용수익, 발생비용 등을 감안해 합리적으로 산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거래소들이 자율적으로 이용료율을 설정할 수 있는 근거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들이 담합까지는 아니어도 비슷한 수준으로 예치금 이용료율을 맞춰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완전히 빗나간 것”이라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게 사태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BEP, 태양광 발전 PF 완료...760억 규모

2한화, 베이커휴즈와 ‘저탄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 맞손

3 오픈AI·카카오 전략적 제휴…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4현대차그룹, 英·美 자동차상 ‘싹쓸이’

5스타트업을 향한 릴레이 응원 캠페인 ‘치킨런’ 실시

6강남3구 아파트 가격 2.5배 올라…평당 1억원 눈앞

7지난해 해외 수주산업 목표 달성 실패…올해는 성공할까?

8'줄서는 맛집 요리' 간편식 냈더니...대박 터졌네

9 이복현 "우리금융 경영평가 이달내 금융위 송부할수도"

실시간 뉴스

1BEP, 태양광 발전 PF 완료...760억 규모

2한화, 베이커휴즈와 ‘저탄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 맞손

3 오픈AI·카카오 전략적 제휴…카나나 등 서비스에 오픈AI 기술

4현대차그룹, 英·美 자동차상 ‘싹쓸이’

5스타트업을 향한 릴레이 응원 캠페인 ‘치킨런’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