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복잡한 특허 심사 업무 AI로 혁신한다…솔트룩스 특허청 서비스 개발 나서

지식재산권 전문 젠아이피와 손잡고 서비스 개발
AI 챗봇·심결문 검색·선행 특허 검색 등 개발 예정

AI 기반 특허 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 [자료 솔트룩스]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인공지능 기업 솔트룩스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2024년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AI 기반 특허 심사 업무 지원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특허 심사 업무에 초거대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솔트룩스는 지식재산권 전문 기관 젠아이피(GenIP)와 손을 잡고 오는 12월까지 서비스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사업 수주 금액은 7억5000만원이다. 

솔트룩스는 헌법재판소 ‘지능형 통합검색’과 서울교통공사 ‘안전GPT’ 등에 적용된 사전학습 모델과 허깅페이스 리더보드 35B 이하 기준 세계 1위를 기록한 언어모델 루시아를 활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개발 기간 및 리스크를 줄이고, 시스템 안정성과 품질은 높인다는 계획이다. 특허 관련 법률·심사 기준·심판편람·업무 매뉴얼 등 도메인 데이터를 혼합해 특허 심사 업무에 최적화된 모델을 만들게 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절차 및 법에 규정된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특허심사 AI 챗봇과 심결문 검색 및 유사·선행 특허 검색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솔트룩스는 언어모델을 손쉽게 생성–관리-배포할 수 있는 노코드 방식 언어모델 관리 도구 ‘랭기지 스튜디오’로 최적의 LLMOps 플랫폼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서울교통공사 법령 및 규정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 원자력안전연구원 형상관리 분야 생성형 AI 적용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검증된 LLM 도입 방법론과 노하우를 적용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해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2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3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4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5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6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7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8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9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실시간 뉴스

1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2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3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4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5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