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 준감위원장 “정경유착 고리, 정치권력 전리품 되면 안 돼”

“한경협, 정경유착 끊을 인적 쇄신됐는지 근본적 의문”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정경유착의 고리는 정치권력의 전리품이 돼서는 안 된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26일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 문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이 위원장은 “한경협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하게 끊을 수 있는 인적 쇄신이 됐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있다”며 “정경유착의 근본을 끊기 위해서는 결단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한경협은 지난 3월 말∼4월 초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을 포함한 420여개 회원사에 회비 납부 공문을 발송했다. 4대 그룹 가운데서는 현대차 그룹과 SK그룹이 회비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은 준감위가 지난해 8월 발표한 한경협 가입 권고안에 따라 회비 납부 전 준감위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준감위가 회비 납부를 깐깐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최고 권력자와 가깝다고 평가받고 있는 분이 경제인 단체의 회장 직무대행을 했다는 점과 임기 후에도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한경협이 근본적으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의지가 있는지 회의가 있다”고 말했다. 또 “한 번의 원칙이 무너지는 예외를 인정하기는 쉽지만, 원칙을 다시 회복하려면 불가능하거나 많은 시간이 든다”며 “삼성 준감위에서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신중하게 회의 납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 위원장이 언급한 인물이 김병준 한경협 고문을 말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김 고문은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이후 자유한국당의 비상대책위원장,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 대선에선 상임선대위원장, 대선 이후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지냈다. 지난해에는 한경협의 전신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을 맡아 새 회장 선출 작업을 이끌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