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스닥 출사표 제닉스,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솔루션’ 선도

물류·공장 자동화 솔루션 제공…수익 다각화 신규 사업 박차

배성관 제닉스 대표이사. [사진 이승훈 기자]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로봇 솔루션 분야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

스마트팩토리 물류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 제닉스가 5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성관 제닉스 대표이사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설비 증설, 연구개발, 우수 인재 영입에 중점 투자해 기업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며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선제 대응함으로써 혁신 기술 발전을 선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제닉스는 스마트팩토리 전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한 무인 물류 자동화 시스템(AMHS〮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을 개발하고 공장 자동화(FA〮Factory Automation)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제닉스의 주요 제품은 ▲유도장치로 주행경로가 미리 설정된 일정한 경로를 운행하는 ‘무인 이송 전기차량’(AGV, Automatic Guided Vehicle) ▲주변 환경을 인식해 스스로 길을 탐색하는 ‘자율 주행∙이동 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s) ▲산업용 소재 및 부품을 적재∙관리하는 ‘스토커’(Stocker·스마트 자동창고) 등이다.

제닉스의 지난해 매출액 613억원, 영업이익 3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8%, 72% 증가한 수치다. 특히 매출액은 2021년 345억원을 기록한 이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 600억원을 돌파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307억원이며, 영업이익은 28억원으로 반기만에 지난해 영업이익의 90% 수준을 이미 달성했다. 

물류 자동화 시스템 경쟁 우위 확보

제닉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AGV 및 AMR 기술경쟁력 ▲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반도체 웨이퍼용 스토커 ▲광범위한 글로벌 톱 티어 고객사 네트워크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약∙바이오, 2차전지, 자동차 등 광범위한 전방 시장과 이에 따른 높은 사업성 ▲물류 산업의 성장과 자동화 설비 도입 수요 증대 등의 강점과 기회요인을 바탕으로 경쟁우위를 더욱 강화하고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산업용 소재 및 부품을 적재∙관리하는 스토커는 제닉스 대표 제품 중 하나다. 이 제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에서 다양한 반송물의 보관, 반입, 반출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첨단 제조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구현하고 공장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스토커는 현재 제닉스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로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또 제닉스는 반도체 웨이퍼가 담긴 웨이퍼 운송용기(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의 저장, 반입, 반출을 자동화한 스토커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또한 제닉스는 ▲스마트 항만 AGV 시스템 개발 및 양산화 ▲Visual SLAM 기술 기반 AMR 장비 개발 ▲200㎜ 반도체 웨이퍼이송장치(OHT) 장비 개발 등 신규 사업들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닉스는 300㎜ 반도체 공정용 OHT의 데모라인 테스트를 완료한 경험을 기반으로 200㎜ 반도체 공정에 활용 가능한 OHT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모 자금으로 시설투자·연구개발 중점 투자

제닉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66만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2만8000원부터 3만4000원이다. 이에 따라 총 공모 예정 금액은 희망가 밴드 상단 기준 약 224억원 규모이다.

공모를 통해 유입된 자금은 시설투자 및 연구개발 등에 사용된다. 특히 신규 공장 증설과 R&D 및 기술인력 충원을 통해 생산능력(CAPA)과 기술경쟁력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회사는 현재 평택 산업단지 토지 매입 및 평택 신규 공장 증설을 추진 중이며, 더욱 고도화된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시스템 및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회사는 9월 5일부터 11일까지 5영업일간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오는 9일과 20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9월 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며,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공모 희망가 상단 기준 약 1486억원 규모다. 상장 주관회사는 신영증권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