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과일 색상은 독점 못 해?"...'메론바' 소송 진 메로나
- 빙그레, 부정경쟁행위금지 청구 소송 패소
"법률상 보호할 가치 있는 이익 해당 안 해"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62부(이현석 부장)는 지난 6일 빙그레가 주식회사 서주를 상대로 제기한 부정경쟁행위금지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소송을 제기한 빙그레의 손을 들지 않은 것이다.
빙그레와 서주는 모두 막대 형태의 멜론맛 아이스크림을 공급하고 있다. 빙그레는 1992년부터 대표 제품 '메로나'를 판매해 왔고, 서주는 2014년 사업권을 취득한 이후 '메론바'를 판매하고 있다.
제품의 포장 껍질 양쪽 끝은 짙은 초록색이지만 가운데는 옅은 색인 점, 좌우로 멜론 사진을 배치한 점, 네모반듯한 글씨체 등이 메로나와 유사하다는 이유에서다.
빙그레는 또 메로나의 포장지가 2004년부터 사용해 온 디자인이고, 이미 빙그레의 상품 용지로 인식돼 있다며 서주가 포장 사용을 중지하고 폐기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법원은 빙그레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메로나의 포장지를 두고 "수요자에게 특정 출처 상품을 연상시킬 정도로 차별적 특징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상품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은 상품의 종류에 따라 어느 정도 한정돼 있어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빙그레가 서주와 법정 공방을 벌인 것에 대해서는 "과일을 소재로 한 제품에 있어 과일이 가지는 본연의 색상은 누구라도 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며 "특정인에게 독점시키는 것은 공익상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법률상 보호할 가치가 있는 이익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中겨냥 “엔비디아 첨단칩 미국만”…못박은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도경수, 소속사 떠나도 지분 50% 포기 NO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 “AI, 하루 늦으면 한 세대 뒤처져”…728조로 도약(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세무 넘어 생활경제로”…삼쩜삼, 전자기기 서비스 플랫폼 인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운아나텍, 글로벌 최초 침 혈당측정기 상용화 '눈앞'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