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예매 실패해 고향 못 갔는데”…명절 기차표 10장 중 4장은 ‘노쇼’

6년간 1494만장 예매취소돼 코레일에 반환
“코레일 표준약관 개정 등 제도 개선 시급”

지난 8월 19일 서울역 대합실에 추석 승차권 예매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최근 6년간 명절 연휴 기간에 운행한 열차 승차권 중 40%가 ‘예약 부도’(노쇼·No Show)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이 14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각 6차례의 설과 5차례의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발권된 KTX와 새마을·무궁화호 등의 기차표는 총 3648만2000여 장으로 집계됐다.

이 중 40.96%에 해당하는 1494만3000여 장은 구매자가 예매를 취소해 코레일에 반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레일은 예약 부도를 최소화하고 실수요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승차권 취소·반환 위약금 부과 기준 시점을 출발 1시간 전에서 3시간 전으로 늘리고, 수수료도 강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설 연휴 기간 발권된 기차표 408만2452장 중 취소·반환된 표는 186만4000여 장으로 전체의 45.68%에 달했다. 이는 6년 전인 2019년 설 연휴 당시의 예약 부도율(33.19%)과 비교해 더 증가한 수치다.

코레일에 따르면 취소·반환된 기차표는 재판매 과정을 거치지만, 열차 출발 이후 취소·반환된 표는 재판매되지 못하고 불용 처리돼 빈 좌석으로 운행하게 된다.

유 의원은 “명절마다 반복되는 기차표 ‘노쇼’로 인해 시민 불편과 피해가 줄지 않고 있다”며 “코레일 표준약관 개정 등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실시간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