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커지는 ‘입시 불확실성’…혼란 빠진 ‘대입 전형 계획’ [임성호의 입시지계]

의대 모집 정원 조정에 입시 전형 계획 변화 불가피
과학기술원·대기업 계약학과 중도 탈락자도 증가세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에서 한 수험생이 답안지에 마킹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의대 모집 정원 확대로 인해 2025학년도·2026학년도·2027학년도 3년 연속 입시 불확실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2025학년도(현 고3) 대학 입시의 의대 모집정원 확대 사안은 수시 원서접수가 시작된 이후에도 핵심 사안로 부상했다. 

입시가 시작된 이후에도 돌발상황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올해 대학 입시가 안정적으로 끝날지조차 불안한 상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현 고2 학생들은 금년도 고3보다 5만2963명이나 늘어나 대학입시도 매우 치열한 학년이다. 

이들에게 적용되는 대학입시 전형 계획은 이미 발표된 상황이다. 그러나 의대 모집정원이 또 다른 변수로 떠오르면서 현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 대학입시 전형 계획은 상당한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변화와 동시에 합격선 예측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의·정 갈등이 장기화 양상을 띠는 이유에서다. 입시의 불확실성이 의대 모집정원 확대, 무전공 선발 도입 등으로 커진 상황에서 2026학년도 대학입시는 금년도 상황보다 더욱 혼란스러운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2026학년도 대학입시 전형 확정이 딜레이 될 경우, 현 고1에 적용되는 2027학년도 대학입시 전형은 자동으로 내년 4월 말까지 공식 확정 발표가 돼야 한다. 다만, 현재 상황을 미뤄봤을 때 순조롭게 진행될지도 의문이다. 

2027학년도는 현행 통합 수능제도 마지막 대상 학년이다. 2028학년도부터는 수능이 전면 개편되고, 수능시험범위도 완전히 달라진다. 아울러 학교내신 체제도 현행 9등급 체제에서 5등급 체제로 완전히 바뀌는 상황이다. 기존의 입시 틀 자체가 바뀌는 셈이다. 

이에 2027학년도는 사실상 대입을 재도전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본인들의 학습한 교과서 및 수능 시험범위, 학교 내신성적을 바탕으로 도전해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그 다음해부터는 완전히 입시 제도가 바뀌기 때문이다.

‘의대 입시 블랙홀’에 학교 떠나는 학생들

당장 입시 전체가 의대 입시 블랙홀에 빠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 고1 학생들에게는 N수생들의 부담이 상당히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 이슈가 장기화되고, 각 대학별 전형계획 수립도 지연 발표 될 경우 학생들이 겪는 혼란은 더욱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대학 입시에서 2025학년도를 포함한 향후 몇 년간은 의대 모집 정원 이슈가 상당히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3년도 전국 4개 과학기술원에서 267명이 중도 이탈하고 학교를 떠났다. 5년 전 한국과학기술원 등 전국 4개 과학기술원에서 176명이 중도 탈락한 것과 비교했을 때 51.7%(91명)나 증가했다. 

2025학년도 신입생 선발인원 기준으로 볼 때 전국 4개 과학기술원 선발인원은 1770명이다. 2023년 중도 탈락자가 267명이다. 신입생 선발인원으로 대비해볼 경우 15.1%에 해당한다. 

대기업 계약학과에서도 학생들이 떠나고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LG유플러스 등 대기업 계약학과에서 2023년도에 학교를 떠난 학생은 36명이었다. 이들 대기업 계약학과 2025학년도 선발인원과 비교했을 때 약 7.1%에 규모다.

대다수 대학 중도 탈락자의 경우 신입생 모집 정원대비로 볼 때 17%를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23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중도탈락자는 2126명이었다. 5년전 2019년에는 1415명이었다. 5년 사이 711명이 증가한 셈이다.

대학별로 살펴 볼 경우 서울대는 2019년 273명에서 2023년 436명으로 급증했다. 연세대 역시 2019년 511명에서 2023년 830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고려대의 경우 2109년 631명에서 2023년 860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대학 진학 후 부적응의 문제로 전공을 바꿀 경우는 어쩔 수 없다. 중도 탈락 사유가 의대 이슈와 상당히 직접적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공계 집중 육성 정책은 전면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2“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3“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4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5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

6'트럼프의 입' 백악관 입성하는 20대 女 대변인

7주유소 기름값 5주 연속 상승…“다음주까지 오른다“

8트럼프에 뿔난 美 전기차·배터리업계…“전기차 보조금 폐지 반대”

9"백신 맞고 자폐증" 美 보건장관의 돌팔이 발언들?

실시간 뉴스

1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2“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3“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4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5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