찝찝한 임시공휴일[EDITOR’S LETTER]

하지만 올해 임시공휴일 지정은 지난해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임시공휴일에 크게 거부감이 없었던 국민들 인식에 변화가 생긴 것일까. 한 설문조사를 보니 국민 5명 중 1명은 임시공휴일에 부정적이었다. 체감상 9월 추석 연휴에 이어 "또 쉬어?"라는 인식 때문인 듯하다.
물론 설문 결과 국민 절반 이상은 이번 임시공휴일 지정에 찬성했다. 유독 무더웠던 올 여름은 고물가에 시름하던 국민들에게 더 큰 시련을 안겨줬다. 특히 올 추석 연휴 때도 제대로 쉬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이날은 선물 같은 하루가 될 수 있다.
다만 올해 임시공휴일 지정은 명분이 약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지난해에는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추석 연휴와 함께 최장 6일의 장기 휴일이 완성됐다. 휴일 연속성을 감안해 10월 2일을 휴일로 지정한 셈이다. 하지만 올해는 10월 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도 징검다리 연휴가 될 수밖에 없다.
개인 연차를 쓰면 장기 휴일이 가능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대체로 해외로 나가 돈을 쓴다. 실제로 지난해 6일의 장기 휴일이 완성되며 해외여행 수요가 폭증했다. 야놀자와 인터파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초 해외패키지 여행 예약과 항공권 예약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10%, 2431% 증가했다.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난감한 사람도 많다. 사업장에서는 긴 추석 연휴 이후 또다시 찾아온 공휴일 때문에 업무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아이 돌봄 문제, 학업일정 연기, 예비군 지정일 변경 등 여러 사회적 혼란과 비용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부분들을 상쇄할 만큼 이번 10월 1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큰 의미를 갖는지는 한 번쯤 생각해 볼 문제다.
정부가 이번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취지는 침체된 내수를 살리기 위한 소비 진작 차원이다. 다만 지난해에도 정부는 똑같은 취지로 임시공휴일을 지정했지만 지표상으로는 큰 수확이 없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특히 휴일 여행이나 외식 등이 많은 지역인 서울(-5.5%), 제주(-6.4%), 전남(-5.9%), 경기(-5.4%) 등은 전년 동분기 대비 소매판매가 모두 감소했다. 내수를 살리겠다는 정부의 취지가 무색해지는 지표다.
소비가 침체된 근본적인 문제는 고물가 때문이다. 휴일을 늘린다고 국민들이 지갑을 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임시공휴일 지정에는 보다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2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
3 ‘창립 60주년’ 농심, 추억의 감자칩 다시 소환한다
4뉴욕증시, FOMC 의사록 여파에 강보합 마감
5“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6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7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8“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9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