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月 100이면 충분" MZ세대, 알바만 찾는다?

취업 안하며 아르바이트로 생활,

최근 취업을 하지 않고 아르바이트로 생활을 이어가는 '프리터족'이 늘고 있다.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직장을 다니지 않고 아르바이트만으로 생활을 이어가는 '프리터족'이 젋은층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취업 성공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위한 의지가 꺾인 탓이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 949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약 60%가 직접 프리터족이라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응답자들 중 상당수는 MZ세대로 불리는 20~30대 청년들이다.

답변 이유는 취업난이 가장 많았고, 자유롭게 살고 싶어서, 최저 시급 상승 등이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을 두고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지고 있는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한국고용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청년의 첫 직장 중 전일제 일자리 비중은 지난해보다 2%포인트 감소한 76%를 기록했다. 지난 2016년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정규직이든 안정 표준 근로관계라고 얘기할 수 있는 일자리는 줄고, 취약한 고용지위와 노동조건을 갖춘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다"며 "근로 빈곤에 빠지거나 삶이 피폐해지는 위험을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프리터족들의 월 수입은 50~100만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월 100~150만원 미만은 24.5%, 월 150~200만원 미만은 19.3%로 집계됐다. 8.5%는 매달 200~250만원 미만의 수입을 올렸고, 월 250~300만원 미만은 2.6%에 그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2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3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4“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5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6“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7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8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9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실시간 뉴스

1“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2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3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4“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5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