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된장·간장에 담긴 K-손맛…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유네스코 산하 평가기구 ‘등재’ 권고
최종 등재 여부, 12월 논의 거쳐 결정

콩을 발효해 된장과 간장을 만들어 먹는 우리의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것이 확실시된다. 5일 유네스코가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심사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사진은 5일 오후 경기도 안성시 서일농원에서 직원들이 장을 관리하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콩을 발효해 된장과 간장을 만들어 먹는 우리의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전망이다.

유네스코가 5일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 기구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영문 명칭 ‘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 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를 심사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평가 기구는 한국의 장 문화에 대해 “밥, 김치와 함께 한국 음식 문화의 핵심”이라며 “집마다 (맛이나 방식이) 다르며 각 가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평가 기구는 심사 결과를 무형유산위원회에 권고하는데, 등재 권고 판정이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어 사실상 등재가 확정된 셈이다. 최종 등재 여부는 12월 2∼7일 파라과이의 수도 아순시온에서 열리는 제19차 무형유산위원회 논의를 거쳐 결정된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등재되면 한국은 23건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사진은 5일 오후 경기도 안성시 서일농원에서 직원들이 장을 관리하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장 담그기는 고대부터 폭넓게 전승되는 전통 음식문화 중 하나로, 재료를 준비해 장을 만드는 전반적 과정을 아우른다. 삼국시대부터 장을 만들어 즐겨 먹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장을 보관하는 창고인 장고(醬庫)를 두고 ‘장고마마’라 불리는 상궁이 직접 장을 담그고 관리할 정도로 장을 중시했다.

콩을 발효해 먹는 문화권 안에서도 한국의 장은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장을 담글 때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의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일본과 구별된다.

특히 메주를 띄운 뒤 된장과 간장이라는 두 가지 장을 만들고, 오래된 씨간장에 새로운 장을 더하는 방식은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다. 이런 점을 인정받아 2018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비자 中입국 전 확인...“호텔 아닌 친지집 머물려면 임시거주등록 필요”

2된장·간장에 담긴 K-손맛…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3태국 아기하마 ‘무뎅’이 점쳤다…미 대선 승자는 바로 ‘이 사람’

4내일 더 춥다…수도권 내륙 첫 영하권, 서울도 최저

5“밤 10시부터 사용 금지”…내년 1월부터 10대 인스타 사용 제한된다

6경북 울진군, 신세대 해녀 양성으로 어촌에 활력

7경주시, 8일 APEC 2025 성공개최 기원 콘서트

811월의 고령군, 다채로운 문화행사로 풍성해 지다

9"영덕대게가 돌아왔다" 올해 금어기 마치고 첫 출하

실시간 뉴스

1무비자 中입국 전 확인...“호텔 아닌 친지집 머물려면 임시거주등록 필요”

2된장·간장에 담긴 K-손맛…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3태국 아기하마 ‘무뎅’이 점쳤다…미 대선 승자는 바로 ‘이 사람’

4내일 더 춥다…수도권 내륙 첫 영하권, 서울도 최저

5“밤 10시부터 사용 금지”…내년 1월부터 10대 인스타 사용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