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 19로 인한 고용 충격…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높아

대기업·정규직 근로자 고용만 회복

고용센터에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코로나19 영향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고용 충격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코로나19가 사업체 고용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말 기준으로 감염병 발생 6개월 후 전체 사업체의 고용은 1.9% 감소했다.

당시 모든 규모의 사업체에서 고용이 줄었으나, 대기업과 500인 이상 사업체는 다른 규모와 비교해 고용 감소 정도가 작았다.

고용은 코로나19 발생 2년 6개월 후 다시 1.2% 증가해 코로나19 발생 직전 수준을 상회했으나, 고용률 증감은 사업체 규모에 따라 갈렸다.

대기업의 고용증감률은 0.7%로 코로나19 발생 직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중소기업 사업체의 고용증감률은 -1.2%로 코로나19 발생 직전보다 감소했다.

상시근로자 수로 분류한 결과를 봐도 500인 미만 사업체의 고용증감률은 음의 값인 데 반해 500인 이상 사업체의 고용증감률은 2.0%로 코로나19 발생 직전보다 증가했다.

고용 형태로 보면 코로나19 발생 6개월 후에는 정규직·비정규직 고용이 모두 감소했으나, 2년 6개월 후에는 정규직은 코로나19 발생 직전 수준으로 고용이 회복한 반면 비정규직은 6개월 후보다 더 감소했다.

즉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시간이 지나 전반적으로 회복됐지만, 대기업과 5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근로자의 고용만 증가한 것이다.

특히 '-20% 이하'로 고용이 크게 감소한 사업체의 비중은 코로나19 발생 후 28.7%로, 글로벌 금융위기 후의 22.9%에 비해 5.8%p 높았다.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유연근무제 도입, 휴업 등의 방법으로 코로나19에 대응했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40% 내외였다.

사업체의 규모가 클수록 코로나19에 대응했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고, 공공부문의 70∼80%가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했다고 응답한 데 반해 민간부문은 약 40% 수준이었다.

코로나19 발생 2년 6개월 후 코로나19에 대응했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대응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사업체보다 고용 증가율이 더 높았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사업체의 고용이 감소했지만, 사업체들의 적절한 대응으로 2년 정도 지나면서 고용수준이 회복했다"며 "다만 규모가 큰 사업체와 고용 안정성이 높은 정규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나 경제위기 시 중소사업체에 대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취약계층의 생활 및 고용안정을 위한 제도를 더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은혜. 전 남편과 재결합? "이 정도면 그냥…"

2박한별, 이혼 권유에도 끝내…"하루하루가 지옥 같아"

3'벚꽃 보러 갈래요? 근데 20대女만…' 스킨십 수위도 적었다

4칭따오, 대용량 ‘칭따오 라거 710ml 빅캔’ 출시

5오뚜기, LIGHT&JOY 활용 키자니아 쿠킹스쿨 진행

6대상다이브스, ‘서울커피엑스포 2025’ 참가…생두 유통 전문성 알린다

7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염으로 급여 적용 확대

8 韓 대행 "헌재서 어떤 결정내려도 차분·냉정하게 받아들여야"

9우리은행, IB그룹 파크원 이전…그룹 IB분야 모두 여의도 집결

실시간 뉴스

1박은혜. 전 남편과 재결합? "이 정도면 그냥…"

2박한별, 이혼 권유에도 끝내…"하루하루가 지옥 같아"

3'벚꽃 보러 갈래요? 근데 20대女만…' 스킨십 수위도 적었다

4칭따오, 대용량 ‘칭따오 라거 710ml 빅캔’ 출시

5오뚜기, LIGHT&JOY 활용 키자니아 쿠킹스쿨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