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대통령 "美와 관세 전쟁 없다"…中 전기차 투자도 미정
트럼프, 멕시코에 25% 관세 부과 언급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가 멕시코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자,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미국과 관세전쟁은 없다고 자신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중국 자동차 회사로부터 멕시코에 공장을 설치하겠다는 확실한 프로젝트 제안을 확인한 바 없다"며 "중국 전기차와 관련해 확정된 투자는 없다"고 말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이 업체명을 적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에 대한 언급으로 보인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를 꿈꾸는 BYD는 북미 지역 자동차 생산기지로 부상한 멕시코에서 공장 부지를 물색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엘피난시에로를 비롯한 현지 매체 보도를 보면 BYD는 북부 국경지대 또는 중부 산업단지를 입지 후보로 삼고 주 정부 등과 계약 조건을 협상하기 위한 조율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BYD는 자사 브랜드 첫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픽업트럭 '샤크'(Shark) 출시 행사를 멕시코시티에서 여는 등 북미·중남미 진출 거점으로서 멕시코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보여 왔다.
스텔라 리 비야디 미주 지역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멕시코 공장 건설 과정에서는 멕시코 시장과 그 외 다른 (중남미) 국가 시장을 고려할 뿐 현재 미국에 진출할 계획은 없다"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BYD 멕시코 공장이 미국 시장을 겨냥한 전초 기지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멕시코 정부는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멕시코에 대한 25% '폭탄 관세' 부과 가능성을 비롯해 역내 통상 환경이 급변할 조짐을 보이면서 BYD 공장 설립을 마냥 반기지는 못하는 상황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미국·캐나다와 협정(USMCA)을 맺고 있기 때문에, 교역에 있어서 이들 국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것이 우리가 취한 접근 방식이며, 이런 사실은 모든 사람에게 공개적으로 말해 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과 전날 통화한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관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진 않았다"면서 "이주와 마약 펜타닐 밀매 등 현안을 이야기했고, 조만간 미국 총기가 멕시코 범죄조직으로 흘러 들어가는 문제에 대해서도 대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와 트럼프 당선인은 양국 사이에 좋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며 "잠재적으로 관세 전쟁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관세 위협이라는 악재를 맞아 급등(가치 하락)했던 멕시코 페소화 환율은 셰인바움-트럼프 통화 사실이 알려진 이후 이날 달러 대비 1% 안팎 하락(가치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중국 자동차 회사로부터 멕시코에 공장을 설치하겠다는 확실한 프로젝트 제안을 확인한 바 없다"며 "중국 전기차와 관련해 확정된 투자는 없다"고 말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이 업체명을 적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에 대한 언급으로 보인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를 꿈꾸는 BYD는 북미 지역 자동차 생산기지로 부상한 멕시코에서 공장 부지를 물색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엘피난시에로를 비롯한 현지 매체 보도를 보면 BYD는 북부 국경지대 또는 중부 산업단지를 입지 후보로 삼고 주 정부 등과 계약 조건을 협상하기 위한 조율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BYD는 자사 브랜드 첫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픽업트럭 '샤크'(Shark) 출시 행사를 멕시코시티에서 여는 등 북미·중남미 진출 거점으로서 멕시코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보여 왔다.
스텔라 리 비야디 미주 지역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멕시코 공장 건설 과정에서는 멕시코 시장과 그 외 다른 (중남미) 국가 시장을 고려할 뿐 현재 미국에 진출할 계획은 없다"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BYD 멕시코 공장이 미국 시장을 겨냥한 전초 기지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멕시코 정부는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멕시코에 대한 25% '폭탄 관세' 부과 가능성을 비롯해 역내 통상 환경이 급변할 조짐을 보이면서 BYD 공장 설립을 마냥 반기지는 못하는 상황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미국·캐나다와 협정(USMCA)을 맺고 있기 때문에, 교역에 있어서 이들 국가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것이 우리가 취한 접근 방식이며, 이런 사실은 모든 사람에게 공개적으로 말해 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과 전날 통화한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관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진 않았다"면서 "이주와 마약 펜타닐 밀매 등 현안을 이야기했고, 조만간 미국 총기가 멕시코 범죄조직으로 흘러 들어가는 문제에 대해서도 대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와 트럼프 당선인은 양국 사이에 좋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며 "잠재적으로 관세 전쟁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관세 위협이라는 악재를 맞아 급등(가치 하락)했던 멕시코 페소화 환율은 셰인바움-트럼프 통화 사실이 알려진 이후 이날 달러 대비 1% 안팎 하락(가치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등촌역’ 견본주택 29일 개관
2"합치고 새로 만들고"...KT, 2025 조직개편 단행
3LG생활건강, 일본 대표 이커머스 행사 매출 292% 성장
4"캠핑장·전시관에서도 세금포인트로 할인 받자"
5"삼성 임원, 몇 년 할 수 있을까?"...퇴임 임원 평균 나이, 56세
6팬 서비스에 진심...NPB GG 수상자, 시상식 금칠 퍼포먼스 '화제'
7'탈(脫) 하이브' 선언한 뉴진스 영향에 하이브 주가도 급락.. “주주 무슨 죄”
8차기 우리은행장 후보 정진완 부행장 “실추된 은행 신뢰회복”
9"아이폰도 접는다"…애플, 폴더블 개발 본격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