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라도 받아야"...대출 조이자 2금융에 쏠렸다
주담대 7000억원 확대, 상호금융서 가장 많아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올해 11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5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6조5000억원이 증가했던 점을 감안하면 1조원 이상 증가폭이 줄었다.
가계대출은 지난 8월 9조7000억원 증가해 3년1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뒤 9월(5조3000억원), 10월(6조5000억원) 등으로 3개월 연속 증가세가 약해졌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데다 주택거래감소 등 부동산 상승세가 둔화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대출 실수요자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면서 풍선효과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가계대출이 3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2조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담대 1조9000억원에서 2조6000억원으로 확대됐고, 기타대출은 8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 1조6000억원, 보험 6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6000억원, 저축은행 4000억원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향후 금리인하 추세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하게 관리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공유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예대금리차 확대 흐름에 대해 "금융회사들의 금리는 기본적으로 시장금리 흐름을 충실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라며 "먼저 금융회사들이 가산금리 등 대출금리 산정체계를 점검하고 소비자에게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금융당국도 필요시 이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